[女보는 눈을 바꿔야 국가경제가 산다] <1부>일·가정의 양립 (1)맞벌이 부부에게 ‘가사노동’이란

[女보는 눈을 바꿔야 국가경제가 산다] <1부>일·가정의 양립 (1)맞벌이 부부에게 ‘가사노동’이란

입력 2015-05-10 17:48
업데이트 2015-05-11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머리는 “공평 분담” 48% 현실은 “여자의 몫” 84%

맞벌이는 ‘맞살림’도 의미해야 한다. 맞벌이 여성들은 고개를 젓는다. 맞벌이로 경제적 여유를 얻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맞살림이 아닌 ‘외살림’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는 더 피폐해졌다는 것이다. 맞벌이 남성은 자신들도 가사노동에 시달린다고 항변한다. 하지만 통계는 다른 이야기를 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맞벌이 남성과 외벌이 남성이 가사에 쓰는 시간은 별반 차이가 없다. 하루에 1시간도 채 안 된다. 2009년 통계이기는 하지만 2004년 통계도 비슷했다는 점에서 최근 몇 년 사이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왜 어디서부터 꼬이기 시작한 걸까.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 실행 비율은 낮다. 인식과 실제의 괴리가 높은 것이다.

지난해 통계청의 사회조사에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47.5%다. 2년마다 하는 조사인데 2008년 32.4%에서 2010년 36.8%, 2012년 45.3% 등으로 꾸준히 높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아내가 주도해야 한다는 응답이 50.2%로 절반을 차지한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공평분담 비율이 낮아진다. 20대는 68.2%지만 50대는 36.4%, 60세 이상은 35.8%다.

남녀 차이도 있다. 남성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42.7%지만 여성은 52.2%로 10% 포인트가량 차이가 난다. 또 남성은 생각만 있지 행동은 하지 않고 있다. 함께 살고 있는 부부에게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느냐고 물은 결과 남성의 16.4%, 여성의 16.0%만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집안일은 여성 몫이라는 가부장적 인식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뜻한다.

안상수 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족에 대한 노동이나 봉사 등에 소홀한 남성은 은퇴 이후의 삶에서 가족들로부터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며 “직장과 가정 모두에서 일을 나누고 서로를 동등한 파트너로 받아들이고 행동하는 것이 남성의 삶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마다 황혼 이혼이 느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안 연구위원은 “초등학교 교과서부터 가사분담을 실고, 어려서부터 아버지가 집안일을 하는 모습이 눈에 익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5-11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