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원주민’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양육법은…

‘디지털 원주민’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양육법은…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5-08 23:32
업데이트 2015-05-09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지털 시대, 위기의 아이들/캐서린 스타이너 어데어·테레사 H 바커 지음

이한이 옮김/오늘의책/440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디지털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위해의 경향은 주로 인터넷·게임 중독이라는 디지털 중독에 쏠려 있다. 그러나 디지털 시대의 아이들은 단지 중독 차원이 아닌, 훨씬 더 복잡한 문제에 처해 있으며 단절과 고립을 포함한 가족·일상의 파괴로까지 치닫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시대, 위기의 아이들’은 디지털 중독을 말하기에 앞서 디지털의 포로와 노예가 된 아이들의 심각한 상황 파악을 통한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미국의 심리학자와 아동심리 전문 저널리스트들은 책에서 지금 아이들은 태생적으로 디지털 세상에서 태어난 ‘디지털 원주민’으로 봐야 한다고 말한다. 디지털 이주민인 부모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발달 과정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전 세대와는 전혀 다른 세상에서 살아가는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양육적 관점을 제공한 책이다.

전문가들이 수천 가구의 가족 상담과 아이들 수만 명을 인터뷰해 소개한 양상은 충격적이다. 아이들의 발달 과정과 가족 생활상이 급격히 변하고 있는 점이 도드라진다. 아동기에 끝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인간적 자질, 즉 자아 정체성 형성이며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그룹행동, 커뮤니케이션 기술, 부모와의 건전한 관계, 대인관계 기술은 물론 기초적인 뇌 발달조차 안 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문제를 더 확산시킨다고 강조한다. 기존의 양육 관점에서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들이 사소한 문제를 큰 문제로 여기고, 주의력 결핍이나 분노조절장애 같은 과잉 진단이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른 나이에 부모에게서 벗어나 디지털이라는 제3 세계를 자신의 양육자로 택하는 아이들’을 위해 지금까지 간과했던 양육 태도부터 먼저 점검하자고 당부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5-0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