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빈볼’의 악연, 아름다운 화해로 풀어야/조현석 체육부장

[데스크 시각] ‘빈볼’의 악연, 아름다운 화해로 풀어야/조현석 체육부장

조현석 기자
조현석 기자
입력 2015-04-30 17:52
업데이트 2015-04-30 17: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현석 체육부장
조현석 체육부장
지난 12일 ‘빈볼’ 시비로 ‘벤치클리어링’을 벌였던 롯데 자이언츠와 한화 이글스가 1일 다시 만난다. ‘큰 점수 차로 이기고 있는 팀은 도루를 하지 않는다’는 야구계의 ‘불문율’(不文律)을 어겼다는 이유로 한화가 롯데 황재균을 상대로 두 차례나 몸에 맞는 공을 던지면서 양 팀 간에 험악한 상황이 벌어졌다.

이날 경기 후 빈볼을 던진 한화 투수 이동걸과 김성근 감독, 구단이 KBO로부터 무더기 징계를 받았고, 이종운 롯데 감독은 “우리 선수를 가해하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 한화전은 앞으로 10경기 이상 남았다”고 밝히는 등 양 팀에는 여전히 앙금이 남아 있는 상태다.

불문율은 규정집에는 없지만 선수들 사이에 일종의 관습법처럼 인식되고 있다. 야구계에서 한솥밥을 먹는 ‘동업자 정신’ 또는 지고 있는 상대팀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지켜져야 하는 룰 아닌 룰이다. 야구에서는 큰 점수 차로 이기고 있을 때 상대팀을 자극하는 도루는 물론 번트나 잦은 투수 교체를 하지 않는다는 불문율이 있다. 이를 어길 경우에는 어김없이 빈볼 등 상대팀의 보복이 가해진다.

농구에서도 큰 점수 차로 이기고 있을 때 종료 시간 직전에 이기고 있는 팀에서는 작전 타임을 부르지 않는다. 또 주전들이 빠지고 백업 요원들이 나와 상대팀이 점수 차를 좁힐 수 있도록 배려하기도 한다. 축구에서는 경기 중 상대 팀에 부상 선수가 발생하면 곧바로 공을 사이드라인 밖으로 걷어 낸다. 상대 팀은 스로인을 통해 공격권을 다시 넘겨주는 것이 암묵처럼 지켜지고 있다.

당시 롯데와 한화의 경기는 일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황재균이 도루를 할 상황은 롯데가 7점을 앞선 상황이었지만 경기를 막 시작한 1회였다. 또 최근 프로야구에 ‘타고투저’(打高投低)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7~9점차 역전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 이 경기에 앞선 지난 10일 양 팀의 경기에서 롯데가 한화에 8-2로 이기고 있다가 8회 1점, 9회 5점을 내주면서 8-8 동점을 허용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에 모호한 불문율에 대해 손을 봐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경기장을 찾은 관객의 입장에서는 치열한 승부를 보고 싶어 한다. 초반부터 점수 차가 크게 벌어졌다고 해서 도루 견제나 작전도 없는 맥빠진 경기를 하게 될 경우 관객들은 야구 전체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롯데와 한화는 프로야구 600만명 시대를 이끌고 있는 인기 구단이다. ‘롯데가 성적을 내야 프로야구가 산다’고 할 정도로 롯데는 전통적인 인기 구단이다. 한화도 김성근 감독 취임 이후 홈구장인 대전구장은 구름 관중이 몰린다. 대전구장은 지난해 64경기 중 8차례 매진됐지만 올해는 벌써 12경기 중 3차례나 만원 관중이 운집했다.

빈볼 논란 이후 앙금이 쌓여 있는 양 팀이 2주 만에 다시 만나 1일부터 3연전을 치른다. 대전구장에서 열리는 두 팀의 경기는 ‘빅매치’답게 벌써 매진이 임박했다는 소식이다.

지난 경기의 잘잘못을 따지는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팬들의 또 다른 관심은 양 팀이 어떻게 지난 경기의 앙금을 풀 것인지에 있다. 경기에 앞서 양 팀 감독이 ‘빈볼의 악연’을 털어버리고 관중들 앞에서 화해의 모습을 보여 준다면 또 하나의 멋진 기억으로 남지 않을까 싶다.

hyun68@seoul.co.kr
2015-05-01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