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군비경쟁속 일본의 군사력은

동북아 군비경쟁속 일본의 군사력은

입력 2015-04-28 16:03
업데이트 2015-04-28 16: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일 동맹이 강화되고 일본 자위대의 활동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일본의 군사대국화 움직임이 심상찮다. 핵무장을 하지 못한 일본의 군사력은 외형상 세계 9위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첨단 무기 등 전력의 질을 따지면 해·공군 차원에서 중국을 견제하기에는 손색이 없는 전력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군사력 평가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는 40여개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매긴 세계 군사력 순위에서 일본을 미국(1위), 러시아 (2위), 중국(3위)보다 후순위인 9위로 평가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지난 13일 발표한 ‘2014 세계 군사비 지출 순위 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일본의 군비 지출은 458억 달러(약 48조 9700억원)로 세계 9위 수준이다. 1위인 미국은 6100억 달러, 2위인 중국은 2160억 달러로 나타났다.

모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일본 자위대 병력 수는 24만7000명 수준으로 중국의 233만명, 북한의 119만명, 한국의 63만명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다. 육상 전력인 전차도 700여대로 주변국(중국 6800여대, 북한 4300여대, 한국 2400여대)에 비해 적다.

하지만 일본 해상자위대는 2023년까지 헬기를 탑재할 수 있는 1만 9500t 경항공모함급 이즈모급 호위함을 포함해 180여척의 수상함정, 18척의 잠수함을 보유하고있다. 일본은 잠수함을 18척에서 22척으로 증강시키고 탄도미사일 방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6척(한국은 3척) 수준인 이지스 구축함을 8척으로 늘릴 계획이다.

공군의 경우 F-15전투기를 200여대 보유하고 있고(한국 F-15K는 60대), 스텔스 기능을 갖춘 5세대 전투기 F-35도 40여대도 우리 공군보다 앞서 도입하는 등 전력 투자를 확충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4월에는 오키나와에 조기경보기부대인 경계항공대를 추가로 창설하는 등 남중국해에서 벌어질 중국과의 무력 충돌에 대비하고 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28일 “10여년전에 비해 중국군 전력이 괄목상대할 정도로 발전했지만 미국이 일본을 군사 파트너로 삼을만큼 해·공군력에 있어서는 일본이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