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집념/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집념/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기자
입력 2015-03-12 18:06
업데이트 2015-03-12 19: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시대 집념의 대명사로 ‘명의’ 허준이 손꼽힌다. 작가 이은성이 쓴 장편소설 ‘동의보감’이나 TV드라마도 영향을 크게 미쳤다. 허준은 선조 7년인 29세에 의과에 급제해 내의원에서 일했다. 동의보감은 한국 자생 약재를 많이 소개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특히 인삼의 효능을 크게 자랑했다. 17세기에 일본 에도에 ‘만병통치약’으로 조선 인삼 신드롬을 일으켜 가격 폭등이 일어난 배경에는 막부가 동의보감을 높이 평가한 것도 있다. 허준 단독 집필로 알려진 동의보감 편찬은 사실 선조의 국책 사업이었다. 선조는 임진왜란 정전 중인 1596년에 허준 등에게 책을 쓰라고 명령했고, 정유재란으로 편집을 중단했다가 다시 허준에게 단독 편집을 맡겨 광해군 2년인 1610년에 완성했다. 물론 허준의 노력은 칭송받을 만하다.

한국 미술계에도 허준 못지않은 집념의 사나이가 있으니 ‘한국 미술 아카이브’를 마련하겠다던 김달진 미술연구소장이다. 그는 오랜 노력 끝에 최근 서울 종로구 홍지문 상명대 입구에 자신의 이름을 딴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을 열었다. ‘언제 자료박물관을 만들겠나’ 하고 회의하던 사람으로서 결실에 크게 감동했다. 질긴 사람이 이긴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3-1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