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루쉰의 문화적 교감 어땠을까

이육사·루쉰의 문화적 교감 어땠을까

입력 2015-02-03 17:50
업데이트 2015-02-04 01: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석표 ‘근대 한중교류의… ’ 출간

역사 속 한국과 중국의 학문적 관계는 지리적 거리만큼이나 가까웠다. 물론 꼭 그렇지만은 않은 시간들도 있었다. 해방 이후에는 미국과 군사외교적, 경제적 측면은 물론, 학술 분야에서도 전략적 친밀도를 유지해왔다. 그렇다면 주권을 빼앗긴 일제 피식민지 시절에는 중국과의 관계 및 교류 협력의 내용이 어땠을까. 주권 없는 나라의 백성이 할 수 있는 교류의 최대치는 비공식적이고 개인적인 부분이었다.

근대시기 호혜적 관계에서 한·중 교류의 역사적 흔적들을 찾아 그 조각들로 당시의 실체를 구성하려는 신선한 시도가 눈길을 끈다. 홍석표 이화여대 중문과 교수는 최근 ‘근대 한중교류의 기원-문학과 사상 그리고 학문의 교섭’을 펴냈다.

당시 민족시인 이육사(1904~1944)와 경성제대 중문과 출신의 문학자 김태준(1905~1949), 무용수 최승희(1911~1967) 등이 중국의 루쉰(迅·1881~1936), 장아이링(張愛玲·1920~1995) 등과 각각 교류했던 내용과 자료, 증언 등을 홍 교수가 중국 현지로 찾아가 발로 써내려간 연구서다.

이육사가 루쉰과 실제 교류했고, 학문적으로 사숙했음 또한 연구자들 중심으로 확인된 바 있다. 하지만 상세한 내용은 여전히 연구가 필요하다. 홍 교수는 이육사가 1926년 겨울학기부터 이듬해 봄학기까지 다녔던 중국 베이징의 ‘중국대학’의 캠퍼스 위치를 확인하고, 당시 신문과 잡지, 일기 등 중국 현지의 다양한 자료는 물론, 중국대학 졸업생 인터뷰 등을 통해 이육사가 어떻게 중국현대문학에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됐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1933년 6월 중국 상하이에서 딱 한 차례 루쉰과 조우한 경험이었지만 이육사는 전통이 해체되고 근대가 수립되는 시기에 자신처럼 전통과 근대를 내면화하는 루쉰에게 문학적 교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음도 이해할 수 있다. 이육사는 루쉰의 글뿐 아니라 쉬즈모(徐志摩), 후스(胡適), 궈모뤄(郭沫若) 등의 작품을 소개하는 데 힘썼다.

또 ‘색, 계’(色, 戒)로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진 장아이링은 현대 중국이 가장 사랑하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 장아이링은 1945년 4월 9일 당시 아시아를 떠들썩하게 한 최승희를 만난다. 상하이 월간문예지 ‘잡지’는 ‘최승희의 두 번째 상하이 방문기’ 글을 통해 중국 최고의 경극배우 메이란팡(梅蘭芳), 장아이링과의 좌담 내용을 실었다. ‘신중국보’ 신문사가 개최한 좌담회였다.

홍 교수는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당시 최승희와 장아이링의 사진까지 실었다. 장아이링의 장편소설 ‘앙가’(秧歌)와 ‘적지지련’(赤地之戀)에서 한국전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우연만이 아님을 짐작게 한다.

책은 연구실과 책상 바깥에서 행하는 연구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시켜 준다. 이육사, 루쉰 등 관련 인물들의 연보를 함께 실어 인물 교류의 통시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2-04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