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5. 타이라곤 딱 두 번 매본 명함없는 햇병아리 [선데이서울로 보는 그때 그 시절]

25. 타이라곤 딱 두 번 매본 명함없는 햇병아리 [선데이서울로 보는 그때 그 시절]

입력 2015-01-15 18:41
업데이트 2015-01-24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1회 한국문화대상 연예부문 대상을 탄 조영남씨

이미지 확대
조영남
조영남


가수들이 연기, 예능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게 일반화돼 있지 않던 시절 종합 예능인으로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던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조영남입니다. 서울대 출신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는 조영남은 노래 뿐 아니라 연기, MC, DJ, 토크쇼 등 다방면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여 왔습니다. 데뷔한 지 2년도 안 돼 서울신문 주관 제1회 ’한국문화대상’ 연예부문 대상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습니다. 거의 50년 전인 1968년의 일입니다. 당시 기사를 소개합니다.

▒▒▒▒▒▒▒▒▒▒▒▒▒▒▒▒▒▒▒▒▒▒▒▒▒▒▒▒▒▒

[선데이서울로 보는 그때 그 시절] 25. 타이라곤 딱 두 번 매본 명함없는 햇병아리…제1회 한국문화대상 연예부문 대상을 탄 조영남씨
(선데이서울 1968년 12월 1일자)

별명이 ‘타잔’. 납작한 얼굴에 납작한 코, 짤막한 키에 멋대로 자란 더벅머리. 아무리 귀엽게 봐주려 해도 결코 미남은 아니다. 서울신문사 제정 제1회 한국문화대상의 연예부문 대상 수상자 조영남(趙英男·23). 데뷔 1년 6개월이 채 못 되는 그가 권위를 다짐하는, 그리고 부상 45만원의 푸짐한 상금이 달린 대상을 차지하기까지는?

데뷔 초기의 조영남/1968년 12월 1일자 선데이서울
데뷔 초기의 조영남/1968년 12월 1일자 선데이서울 데뷔 초기의 조영남
1968년 12월 1일자 선데이서울


별명 ‘타잔’, ‘더벅머리 총각’-본격 활동은 겨우 여섯 달

데뷔한 지 1년 반이라고는 하지만 조영남이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한 것은 6개월 정도에 불과하다. 지난해 4월 한 방송국의 ‘오늘도 명랑하게’라는 아침 프로그램에서 어느 외국가수의 컨트리송을 흉내낸 게 최초의 방송무대였다. 그로부터 1년 가까이는 미8군 무대가 주무대였다. 그리고 지금도 서울대 음대 3년에 재학중인 성악도다.

독집을 10여개씩 갖고 있고 레코드사, 방송국, 쇼무대를 서커스처럼 뛰어다니고 가요 부문 상(賞)이라면 단골로 차지하는 관록파 가수들에 비하면 조영남은 아직 햇병아리이다. 레코드가 가수의 명함이라면 조영남은 아직 명함도 없다.(현재 그의 레코드가 3개 동시 출반의 단계에 있기는 하다.)

시상식 무대 위에서의 그는 남달리 상기돼 있었다. 7명의 심사위원이 대상 후보자 선출을 위해 이례적으로 무대 위에서 투표용지를 함 속에 집어넣을 때까지 그는 자신이 차지한 ‘남자가수상’이란 영예만으로도 충분히 흥분 상태였다. 그러나 개표 결과 6대 1이라는 압도적인 수로 그의 이름이 대상 수상자로 호명됐다. 심사위원회는 당초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안 나올 경우 2차 투표로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그럴 필요도 없이 부상 45만원의 큼직한 상금이 달린 최고의 영예가 그의 손에 굴러들어간 것이다. 인기보다는 재능을, 관록보다는 장래성을 주장한 심사위원들이 그에게 몰표를 던졌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책축제 ‘파주 북소리 2011’ 이틀째인 2일 오후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린 ‘조영남의 북콘서트’에서 조영남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책축제 ‘파주 북소리 2011’ 이틀째인 2일 오후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린 ‘조영남의 북콘서트’에서 조영남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연합뉴스


극장엔 낮잠자러 가…맥주 30병 마신 끝에 이틀 앓아

“처음으로 가수가 됐다는 기분이 듭니다.”

시상식 뒤 조영남은 생후 두 번째 매 봤다는 보타이를 어루만지며 히죽히죽 웃었다. 타이를 처음 매어본 것이 지난 9월 드라마 센터에서 자신의 리사이틀을 가졌을 때. 안 매는 게 아니라 못 맨다고 주장한다.

“신사복은 리사이틀 때 이모가 사 준 검정색 한 벌 뿐입니다. 목욕은 잘해야 1년에 몇 번, 이발소와는 담을 쌓았고 영화관에는 낮잠을 자러 가지요.”

엉뚱한 얘기다. 사실상 그의 차림새나 얘기에서 ‘히피’적 체취가 없는 것도 아니다. 술은 즐기지 않지만 한번 마셨다 하면 소주를 맥주컵으로 마시고 때론 술로 밤샘을 한단다.

“새벽 3시까지 한 30병 마시고 나서 이틀을 앓아 누웠습니다. 그날은 컨디션이 나빴던 것 같습니다.”

이미지 확대
가수 조영남
가수 조영남


무대에 오를 때에도 그는 화장을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차라리 더 우스꽝스럽게 보이려는 듯 얼굴을 마음껏 찌푸린다. 노래는 애써 배우는 게 아니고 저절로 배우게 된다는 조영남이다. 집에는 TV, 전축은 물론이고 가수의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는 녹음기, 라디오 하나 없단다. 다방이든 극장이든 흘러 들어오는 노래가 곧 교과서이고 “한번 들으면 대개는 외우게 된다”는 것. 따라서 다른 가수들처럼 레슨이니 연습이니 하는 과정을 밟지 않았다고 자랑한다.

연애사건으로 H대 중퇴, 지금은 서울음대 3년 재학 중

조영남의 재능은 이미 강문고(현재의 용문고) 2학년 때부터 실증이 됐다. 한양대 주최 전국 고교 콩쿠르에서 수석을 차지한 그는 장학금으로 고등학교를 마쳤다. 이어 해외유학까지 보장받는 조건의 장학생으로 한양대 음대에 들어갔다. 2학년에서 중퇴한 그는 다음해에 현재의 서울대 음대에 다시 1학년으로 입학했다. 한양대를 자퇴한 이유는 연애사건 때문이란 것.

그는 “퍽 심각한 연애였다”면서 상대방 여학생이 자퇴를 하자 자신도 더 다닐 마음이 안생겨 중퇴해 버렸다고 했다. 당시 19세였던 그가 어느 정도의 심각한 연애사건을 벌였는지에 관해서는 애써 입을 다문다. 또 한 곳 그에게 장학금을 대준 곳은 그가 고등학생 때 성가대로 있던 D교회다. 한 달에 2000원씩 학비보조를 해줬다.

“너무 조건을 내세우고 치사하게 굴어서 1년 만에 교회를 뛰어나왔습니다. 협조를 이유로 자유를 구속하는 것은 견딜 수 없는 일이지요.”

그의 비틀즈에 대한 견해는 자유분방해서 좋다는 것. 히피적 생활에 관해서는 개성이 있고 사회에 생명감을 넣어주는 것 같아서 할 수 있으면 자신도 해보고 싶다고 한다. 홀어머니(54) 슬하에 7남매의 넷째, 가정형편은 퍽 어려웠고 지금도 어렵게 산다.

이미지 확대
조영남
조영남


대학 2학년 때 8군 무대에 선 것도 장학금을 차버린 뒤 학비를 벌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를 통해 그의 재능이 날개를 펴기 시작했다. 세미 클래식에서부터 컨트리, 웨스턴포크, 칸소네, 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창과 특이한 무대 매너는 날로 그의 주가를 높였고 파격적인 개런티 상승이 뒤따랐다.

톰 존스의 히트곡 ’딜라일라’가 성공의 발판

이런 현상은 그의 TV무대 진출에서도 재현됐다. 그가 부른 ‘딜라일라’는 지금 선풍처럼 가요계를 휩쓸고 TV극 ‘목격자’의 주제가 ‘이 생명 다하여’, 정훈희의 히트곡 ‘안개’도 스타일이 바뀐 채 원곡 못지않게 히트를 하고 있다. ‘딜라일라’는 영국가수 톰 존스가 올 초에 불러 영국·미국을 비롯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세계적인 가수로 군림하게 만든 컨트리 뮤직이다. 조영남의 등장은 바로 이 ‘딜라일라’의 한국 상륙과 때를 같이했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다.

그를 둘러싼 작곡가, 레코드사들이 거의 동시에 세 곳에서 나타나 취입 쟁탈전을 벌였고 조영남은 번역곡을 3개의 디스크에 취입, 출반 단계에 있다. 음대에서 기초 교육을 착실히 쌓은 그가 몇 개의 대중가요에서 가능성을 보이면서 그에 대한 가요계의 기대는 가히 절대적이다. 이봉조, 홍현걸, 손석우, 서영은 등 많은 작곡가들이 저마다 자작곡의 취입을 위해 집중 공격을 펴고 있고 몇몇 레코드사들이 그를 끌어들이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그에게 한국문화대상을 주는 데 서슴지 않은 심사위원들은 “종래 가수들의 창법에서 완전히 탈피한 가수”, “풍부한 기초실력, 풍부한 성량, 놀라운 소화력”을 내세우며 극찬을 했다.

정리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서울신문은 1960~70년대 ‘선데이서울’에 실렸던 다양한 기사들을 새로운 형태로 묶고 가공해 연재합니다. 일부는 원문 그대로, 일부는 원문을 가공해 게재합니다. ‘베이비붐’ 세대들이 어린이·청소년기를 보내던 시절, 당시의 우리 사회 모습을 현재와 비교해 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될 것입니다. 원문의 표현과 문체를 살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일부는 오늘날에 맞게 수정합니다. <편집자註>

*서울신문이 발간했던 ‘선데이서울’은 1968년 창간돼 1991년 종간되기까지 23년 동안 시대를 대표했던 대중오락 주간지입니다.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