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시대] 우리나라에도 시장창출형 혁신이 필요하다/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글로벌 시대] 우리나라에도 시장창출형 혁신이 필요하다/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입력 2015-01-11 23:58
업데이트 2015-01-12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미국의 라스베이거스에서는 세계 최대의 전자쇼라고 할 수 있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가 열렸다. 이번 CES에서 최고로 눈에 띈 것은 중국 기업들이었다는 소문이다. 선전(深?)을 중심으로 하는 많은 중소기업들이 약진하면서 CES 전시장을 양적으로 압도했다고 한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몇몇 대기업들의 부스를 제외하고는 별로 눈에 띄지 않았다. 이런 상황이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된다면 우리나라의 성장잠재력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떨어질지도 모른다. 무엇이 이런 급박한 위기를 불러오는 것일까? 개인적으로 투자와 혁신의 우선순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 융합학과 교수
하버드대학의 유명한 혁신의 대가인 클레이턴 크리스텐슨 교수는 혁신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첫 번째는 지속적 혁신이다. 지속적 혁신의 목표는 오래된 제품을 새로운 것이나 좀 더 나은 것으로 교체해 나가는 것을 흔히 의미한다. 두 번째 유형은 효율 혁신이다.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지속적 혁신이나 효율 혁신은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나 일자리를 늘리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마지막 유형은 시장창출형 혁신이다. 시장창출형 혁신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하므로 기업은 더 많은 사람들을 고용해 이를 만들어 내고, 유통하고, 서비스할 수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시장창출 혁신이다. 시장창출 혁신을 위해서는 현재의 제품이나 서비스로 제공이 어려운 것을 혁신해야 하므로 뻔히 보이는 것에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도 된다. 고급스럽고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쉽게 만드는 분야가 가장 중요한 혁신 분야다.

최근 미국에서 떠오르는 십시일반 돈을 모아서 스타트업 벤처에 투자를 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획기적인 제품이나 콘텐츠에 대해 전 세계의 사람들이 조금씩 돈을 모아 선구매를 통해 사업이 진행되도록 도와주는 플랫폼, 금융의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여러 핀테크 기업 등의 혁신이 시장창출형 혁신이다. 소수의 효율을 중심으로 거대한 이득을 챙겨 오던 사업의 구조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 과거에 없었던 것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최근 미국이 다시 세계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것은 이와 같은 시장창출형 혁신 기업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은 효율 혁신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왔다. 이제는 이런 효율 혁신이 우리가 아닌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신흥국들의 몫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시장창출형 혁신으로 혁신의 방점을 옮기지 못한다면 일본 이상의 장기적 침체에 들어갈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왜 시장창출형 혁신이 나타나지 못할까? 필자는 그동안 성공의 법칙이 지나칠 정도로 경직된 사회 시스템과 제도, 그리고 문화를 만들어 놓았다고 생각한다. 대규모 투자에 대한 신속한 결정과 국가적 지원,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는 조직 문화가 대한민국을 대기업과 공기업의 천국으로 만들어 놓았고, 이런 구조가 수십 년 지속되면서 사회가 전반적으로 관료화돼 거의 모든 혁신의 영역을 잠식했다.

작고 힘없는 혁신 기업들의 시도는 수많은 규제에 걸려 좌초하기 십상이다. 이런 어려움을 뚫고 나온 곳들은 곧바로 감시 대상이 되거나 새로운 혁신 기업의 등장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견제와 질시 속에 해외로 옮겨 가는 곳들도 보인다.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공정한 경쟁이 아닌 수많은 정치적 수단이 난무하는 사회에서 시장창출형 혁신은 요원하다.
2015-01-12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