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호조 속 스마트폰 바닥쳤나

반도체 호조 속 스마트폰 바닥쳤나

입력 2015-01-09 00:34
업데이트 2015-01-09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5조 2000억원 ‘깜짝 실적’

3년 만의 최저를 기록한 분기 실적으로 시장에 ‘어닝쇼크’(실적충격)를 던졌던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이 다시 5조원대로 올라섰다. 4조원 후반을 전망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적으로 3분기와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반등에 성공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5조 2000억원의 영업이익(잠정실적)을 올렸다고 8일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4조 600억원)보다 28.08% 증가했다. 이날 발표된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인 4조 8200억원을 웃도는 수치다. 8조 3100억원을 기록한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37.42% 감소한 수치지만 당시는 삼성전자 사상 최고 실적을 보인 한 해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52조원을 기록해 3분기(47조 4500억원)보다 9.59% 늘었다. 하지만 2013년 4분기(59조 2800억원)보다는 12.28% 감소했다. 4분기 영업이익률은 10.0%로 역시 한 분기 만에 두 자릿수대를 회복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205조 48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228조 6900억원)에 비해 10.15% 줄었다. 삼성전자의 연간 매출액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2005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이다. 분기 실적 상승의 원동력은 반도체 부문의 호조 속에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모바일(IM)부문에서 실적이 비용 삭감 등으로 바닥을 쳤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반도체 부문의 업황이 지난 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개선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고 진단했다. 김영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4조원 후반대를 예상했는데 훨씬 양호하게 나왔다”면서 “반도체 부문 이익이 지난해 3분기 대비 20%가량 늘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스마트폰 부문의 영업이익이 예상보다 선전했다는 점도 깜짝 실적을 이끈 것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폰 판매량은 줄었지만, 갤럭시 노트4·노트 엣지 등 하이엔드 제품(기능이 가장 뛰어나거나 가격이 제일 비쌈)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판매량 증가보다는 마케팅 비용 감소 덕을 봤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삼성전자의 분기 실적에 대한 시장의 해석은 일단 긍정적이지만 삼페인을 터트리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입을 모은다.

올 1~2분기 역시 지난 4분기보다 나아진 실적을 올린다면 본격적인 상승 기류를 탈 수 있겠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이 빠르게 뒤따라오며 경쟁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실적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추가 회복 여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정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부터 스마트폰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델 라인업을 재정비하고 있다”면서 “올해 1분기 이후 갤럭시S6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제품이 출시되면서 스마트폰 부문 실적에 대한 우려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삼성전자의 승패는 새 스마트폰에 달려 있는 셈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1-09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