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本淸源(정본청원)’ 교수신문, 새해 ‘희망의 사자성어’ 선정…“상식이 통용되는 사회 의미”

‘正本淸源(정본청원)’ 교수신문, 새해 ‘희망의 사자성어’ 선정…“상식이 통용되는 사회 의미”

입력 2015-01-04 23:52
업데이트 2015-01-05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본청원:근본을 바로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

교수들이 2015년의 바람을 담은 사자성어로 ‘정본청원’(正本淸源)을 꼽았다. 교수신문은 지난달 8~17일 전국의 교수 724명을 대상으로 새해 ‘희망의 사자성어’를 설문한 결과 265명(36.6%)이 ‘근본을 바로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는 뜻의 정본청원을 선택했다고 4일 밝혔다.

‘논어’와 ‘한서’의 ‘형법지’ 등에서 비롯된 정본청원을 추천한 이승환 고려대 철학과 교수는 “관피아의 먹이사슬, 의혹투성이의 자원외교, 비선 조직의 국정 농단과 같은 어지러운 상태를 바로잡아 근본을 바로 세우고 상식이 통용되는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윤민중 충남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2014년에 있었던 참사와 부정부패 등은 원칙과 법을 무시한 데서 비롯됐다”며 “새해에는 기본을 세우고 원칙에 충실한 국가, 사회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교수 187명(25.8%)이 어지러운 상태에서 벗어나 새롭게 나라를 건설하다는 뜻의 ‘회천재조’(回天再造)를 꼽았다.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상태로 돌아간다는 뜻의 ‘사필귀정’(事必歸正)이 교수 112명(15.5%)의 표를 얻었다. 또 교수 100명(13.8%)이 곧은 사람을 기용해 굽은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이 따른다는 뜻의 ‘거직조왕’(擧直錯枉)을 선택, 네 번째로 많은 지지를 받았다.

앞서 교수신문은 지난해 12월 한 해를 되돌아보는 ‘올해의 사자성어’에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부른다는 뜻의 ‘지록위마’(指鹿爲馬)가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1-05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