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전관리 좋아졌지만 저체중아·조산아 발생은 증가

산전관리 좋아졌지만 저체중아·조산아 발생은 증가

입력 2014-12-14 00:00
업데이트 2014-12-14 1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체중아·조산아 발생률 10년새 1.5%P·2%P 늘어

다양한 산전관리 지원정책에도 저체중아와 조산아 발생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이난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문연구원이 보건복지포럼 최근호(11월호)에 발표한 ‘저출산시대 산모와 출생아의 건강을 위한 산전관리 내실화’ 보고서에 따르면 저체중아 출생률은 2003년 4.0%를 기록한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여 작년에는 5.5%까지 올랐다.

저체중아는 태어날 때 체중이 2.5㎏ 미만인 신생아다. 1.5㎏ 미만의 극소저체중아 발생률도 2003년 0.4%에서 2013년 0.7%로 상승했다.

임신 37주 전에 태어난 조산아 발생률 역시 증가 추세였다. 2003년 100명당 4.5명이던 조산아는 2013년에는 100명당 6.5명으로 2명 더 많아졌다.

이처럼 저체중아와 조산아의 발생률이 높아진 것은 만혼화로 고위험 임신이 늘었고 보조생식술 영향으로 다태아 임신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저체중아·조산아의 증가 추세를 극복하기 위해 산전관리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전문연구원은 “산전관리 관련 정책이 많이 발전해 국가와 지자체가 건강한 아기의 출산을 위해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음에도 저체중아율과 조산율은 향상되지 않고 있다”며 “산전관리의 실질적인 내실화가 이뤄진다면 더 많은 아기가 건강한 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부는 임신 28주까지 4주에 1회, 임신 28~36주는 2주에 1회, 36주 이후부터 분만까지는 1주에 1회 산전관리를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 임신중 필요한 기본 검사인 혈액형 검사, 혈액 검사, 간염 검사, 매독반응 검사, 풍진검사, 초음파 검사, 소변검사,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 검사 중 일부는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는데, 산전관리 비용 중 일부는 ‘고운맘 카드’를 통해 국가에서 지원해준다.

산전관리 지원정책의 영향으로 산전수전율은 2012년 기준 94.5%로 높은 편이다. 산전수전율은 임신 중 한번이라도 임신과 관련 진찰을 받은 경험이 있는 비율이다.

보고서는 산전관리의 내실화를 위해 ▲ 산전 정신 건강관리 ▲ 임신 초기의 산전관리 강화 ▲ 기본검사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확대를 제안했다.

이 연구원은 “선진국에서는 산전관리에 정신건강을 포함시켜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지만 한국에서는 우울증 같은 정신건강이 산전관리정책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산모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는 산전관리가 임신 3기(임신 29주~출산)에 집중돼 있다”며 “임신 1기(임신 14주까지)에 태아의 선천기형, 임신합병증, 사산과 조산 등 불리한 출산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만큼 이 시기의 산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