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DA승인 ‘라식,라섹 엑스트라’, 각막 내구성을 강화해 부작용 예방

KFDA승인 ‘라식,라섹 엑스트라’, 각막 내구성을 강화해 부작용 예방

입력 2014-11-20 00:00
업데이트 2014-11-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직장인 지 모씨(31세, 여)는 작년 겨울 10년동안 착용하던 콘택트렌즈 트러블로 한차례 크게 고생한 후 시력교정술을 받으려고 결심했다. 그러나 최근 방송 등 여러 가지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한 이슈가 많아지면서 다시 수술을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라식, 라섹 수술 후 원추각막이라는 부작용의 경우 각막이식까지 받아야 한다는 주변 지인의 이야기를 듣고 수술을 더욱 망설이게 된 것이다.

이처럼 최근 라식, 라섹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한 방송 등 각종 이슈가 떠오르면서 수술을 망설이는 환자들이 많아졌다. 앞서 언급한 원추각막증은 라식, 라섹 수술 후 약해진 각막 두께가 눈 속의 압력을 견디지 못해 각막의 중앙 혹은 중앙 아래부위가 원뿔모양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증상을 말하는데, 이 경우 근시와 같이 원거리 시력 감소는 물론이고 빛에 매우 민감해지며 난시 발생, 야간시력 저하, 안구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라식, 라섹 후 시력저하의 경우도 환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작용 중 하나이다. 물론 생활 습관에 따라 다시 퇴행하기도 하지만, 각막의 세포가 자라면서 수술 전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 때문에 교정 전 시력으로 근시퇴행하려는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국내에 지금까지는 없었으나, 최근 KFDA승인을 받은 라식, 라섹 엑스트라가 국내에서도 시행되면서 수술 후 원추각막, 근시퇴행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대안을 마련했다. 라식, 라섹엑스트라는 기존 라식, 라섹 수술 직 후 콜라겐교차결합술을 추가 시행해 각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원리다.

수술 절차는 간단하다. 일반 적인 레이저시력교정술(라식, 라섹) 직 후 각막 표면에 리보플라빈(비타민B2) 용액 ‘VibeX’를 흡수시키고 콜라겐교차결합술 장비 ‘아베드로(avedro) KXL시스템’으로 자외선을 조사해 수술 후 각막 내의 콜라겐 분자들의 자체결합을 강화시켜 각막의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시력교정술 후 약 3분정도의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 실제 임상에서는 레이져 시력 교정수술(라식, 라섹, 스마일 라식 등) 후 약 25 % 약해진 각막을 150 % 강하게 만드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에는 라식, 라섹 수술의 조건을 각막두께와 모양을 보고 판단했지만, 앞서 콜라겐교차결합술과의 접목을 통해, 이제 각막의 내구성을 높여 부작용을 미리 예방해 안전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었다. 각막의 강도 측정을 위한 각막탄성검사는 코르비스ST라는 장비를 통해 측정 가능하다. 안전한 수술을 위해 각막 두께, 전후면부 모양과 더불어 반드시 실행해야 할 검사임을 기억해야 한다.

‘라식, 라섹 엑스트라’는 이미 CE마크를 획득해 유럽, 캐나다, 일본, 싱가포르 등 40여개 국에서 활발히 시행하고 있으며 영국 LONDOND EYE HOSPITAL등 주요 병원에서 라식수술과 라섹수술 환자의 대부분에게 시행하는 ‘Gold Standard’ (표준 수술)로 자리잡고 있어 안전성 면에서도 입증되었다는 평가다.

라식, 라섹 엑스트라를 최초 도입해 수술을 진행중인 아이리움안과 강성용 원장은 “시력저하, 원추각막과 같이 환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하고 획기적이지만, 라식, 라섹 수술 후 콜라겐교차결합수술을 마치 마술처럼 생각하여 레이저 시력교정술이 곤란한 환자에게까지 진행해서는 안되며, 기존 수술 후 잔여 각막두께 안전기준을 고수하면서 각막의 내구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추가 수술로 부작용을 억제한 안전한 수술이 라식, 라섹 엑스트라의 도입 취지이다”라고 밝히면서 무분별한 수술에 대해 경계할 것을 조언했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