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론, 돌취생, 청년실신’ 2014 채용시장 신조어

‘인구론, 돌취생, 청년실신’ 2014 채용시장 신조어

입력 2014-11-19 00:00
업데이트 2014-11-19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청년실업 세태를 꼬집은 SNL코리아의 한 코너.
요즘 청년실업 세태를 꼬집은 SNL코리아의 한 코너.


’인구론(인문계 졸업생의 90%는 논다), 돌취생(입사 후 다시 취업준비생으로 돌아온 사람)….’

취업포털 사람인이 올해 채용시장을 반영한 신조어를 19일 소개했다.

’인구론’은 이공계를 선호하는 기업이 늘어난 데 따라 생겨난 단어다.

실제로 한국교육개발원이 펴낸 취업통계연보를 보면 인문계열 졸업자의 취업률은 45.9%로 공학계열(66.9%), 자연계열(55.6%)보다 낮다고 사람인은 설명했다.

취업률이 낮은 인문계열 학과를 통·폐합하는 대학가의 움직임도 이러한 세태를 반영한 것이다.

’돌취생’은 입사한 회사에 만족하지 못하고 다시 취업시장으로 돌아온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다.

사람인이 지난 1년간 신입사원을 뽑은 기업 31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7%가 입사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퇴사한 사원이 있다고 답했다.

이와 비슷한 신조어로 20대에 스스로 퇴직한 백수를 가리키는 ‘이퇴백’이 있다. 일단 아무 회사에 들어가 보고 적성에 맞지 않으면 퇴사한다는 것이다.

무급 또는 아주 적은 월급을 주면서 취업준비생을 착취하는 행태를 비꼬는 ‘열정페이’라는 단어도 있다.

’열정이 있으면 돈은 필요 없지 않느냐’고 주장하는 일부 국제기구, 국가기관, 사회적 기업, 인권단체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라고 사람인은 지적했다.

거창한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은 ‘자소설’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소설을 쓰듯 창작한 자기소개서라는 뜻이다.

봉사활동, 학회 등 취업에 도움이 되는 동아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동아리고시’라는 말도 등장했다.

등록금 대출을 받았으나 취업이 늦어져 빚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되는 상태를 묘사하는 ‘청년실신’이라는 신조어도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