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축통화’ 왕관을 쓰려는 者, 그 무게를 견뎌라

‘기축통화’ 왕관을 쓰려는 者, 그 무게를 견뎌라

입력 2014-11-15 00:00
업데이트 2014-11-15 0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2전쟁/레이쓰하이 지음/허유영 옮김/부키/384쪽/1만 4800원

달러($). 전 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통용되는 기축통화(Key currency)다. 미국이 세계경제를 좌지우지하는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기본 배경이기도 하다.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달러 통화량을 조절하면 그에 따라 세계 각 나라에서는 자산 가치가 출렁인다. 끊임없이 미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위안(元). 중국 인민은행이 발행·공급하는 통화 단위로 13억명이 쓰고 있다. 중국은 위안을 국제통화로 만들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 최소한 아프리카, 아시아 등 권역에서는 위안으로 무역 거래를 하는 등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만들려 한다. 국제적 기축통화로 삼아 경제적 지배권을 확보하려는 의도다.

총성도 포연도 없다. 하지만 금융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전쟁은 치열하기 짝이 없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는 2012년 제5차 스트레스 테스트(자산건전성 심사) 기준을 밝혔다. 2015년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5% 마이너스성장하고 실업률이 12%까지 오르며 모든 금융자산의 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지고 주택 및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20% 하락한다는 극단적인 상황을 설정했다. 연준은 미국 19개 대형 금융기관들에 이런 최악의 극단적인 상황에 따라 자기자본비율을 맞출 것을 요구했다. 이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 외부 요인은 바로 ‘중국 및 아시아 경제의 성장 둔화’였다. 중국과의 경제 대결을 최우선적으로 염두에 둔 것이다. 이때 실제로 미 금융기관들은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 보유하고 있던 중국 기업의 주식을 상당량 처분하기도 했다.

‘G2 전쟁:2015~2016 슈퍼 달러의 대반격’은 최근 미국이 추진하는 달러 강세 기조를 중국과 위안화를 겨냥해 벌이는 ‘3차 금융전쟁’이라고 규정한다. 1971년 금본위제가 폐지되고 달러 패권 시대를 연 미국은 이미 두 차례에 걸쳐 ‘달러 약세→세계 각국 달러 통화량 증가→자산 가치 상승→미 금리 인상으로 달러 강세 추진→미국으로 달러 회귀→각국 자산 가치 하락→미국 경제 활성화’의 패턴으로 달러 통화정책을 성공시킨 바 있다. 2015년 이후 중국을 겨냥해 다시 한번 이러한 전쟁을 벌이려 한다는 분석이다.

미국으로서 달러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중국의 국제통화화 저지다. 지금처럼 국제무역에서 중국이 달러를 결제통화로 사용한다면 미국의 달러 패권은 한동안 유지될 수 있지만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서 위안화를 결제 수단으로 삼는다면 달러의 글로벌 순환 시스템은 위력을 잃게 된다.

실제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3조 8800억달러의 외환보유고는 중국 입장에서 양날의 칼이다. 미국은 4조 달러에 육박하는 외환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중국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며 달러 강세 기조를 유지하려는 정책에 대해 긴장하면서 대응해야 한다. 하지만 미국의 금융정책에 따라 자산 가치가 출렁일 수 있는 위험에 노출돼 있고, 외화를 사들여 통화를 공급하는 통화정책 탓에 국내 인플레이션도 큰 우려다.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인 시나닷컴의 경제 칼럼니스트이자 국제 문제 전문가인 레이쓰하이(思海)가 쓴 이 책은 부동산 등 중국 자산 거품이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도 중국이 부동산 가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유로존이 전략적으로 큰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다면 궁극적으로 미국이 달러 가치를 급반등시키기는 쉽지 않다고 본다. 3차 금융전쟁의 승자가 중국이 될 수밖에 없음을 전망한 것이다.

한국 입장에서 고민이 많아지는 대목이다. 이미 위안화 국제화를 염두에 두고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열고 위안화 표시 외국환평형기금 채권 발행도 검토하고 있다. 위안화 국제화는 한국 경제에는 기회이자 위협이다. 기축통화가 많아지면 달러 의존도를 낮춰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불확실성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현명하면서도 중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한 시기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4-11-15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