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삼성의 대졸공채 전면개편 주목한다

[사설] 삼성의 대졸공채 전면개편 주목한다

입력 2014-11-06 00:00
업데이트 2014-11-06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은 어제 대졸 공채 방식을 전면 개편한다고 발표했다. 그룹의 공식 입사 시험인 삼성직무적성검사(SSAT)를 보기 전에 ‘직무적합성평가’라는 단계를 새로 만들어 먼저 거치도록 한 게 주요 내용이다. 내년 하반기 공채부터 적용된다. 삼성에 지원하는 사람이 연간 20만명에 달하고 관련 사교육 시장도 우후죽순처럼 커진 기현상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방향으로도 볼 수 있다. 응시생을 미리 한 차례 걸러 내기 때문에 내년부터 SSAT 응시생은 크게 준다.

삼성그룹은 연간 9000명가량의 신입사원을 뽑는다. 응시생의 95% 이상이 결과적으로 낙방의 쓴잔을 마시게 된다. 그런데도 너도나도 ‘삼성고시’에만 매달린다. 개인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비효율적인 현상이다. 이번 개편으로 많게는 수백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삼성고시’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도 줄어든다. 삼성 측은 사회적 비용 경감보다는 직무별로 필요한 인재를 제대로 뽑기 위해 제도를 개편했다고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는 업무 능력과는 무관한 SSAT 성적이 최종 당락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 때문에 ‘직무적합성평가’를 통해 전공 학점을 얼마나 충실히 이수했는지를 보고, 직군(職群)에 따라 자기 업무와 관련된 강점을 보여 주는 에세이도 받기로 했다. 기존 시험 위주의 획일적 채용 방법에서 벗어나 일을 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지원자가 SSAT를 통과하지 못해 면접도 못 보는 경우를 없애겠다는 것이다. 지원자와 면접관이 주어진 주제를 놓고 토론을 통해 문제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창의성 면접도 새로 도입했다.

대부분의 제도나 정책이 그렇듯 삼성의 공채 개편에도 양면성은 있다. 당장 삼성이 ‘열린 채용’을 내세우며 1995년 폐지했던 서류전형을 부활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삼성은 출신 대학, 어학 연수와 같은 직무와 관계없는 스펙은 일절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의미의 서류전형은 아니라고 설명하지만 많은 취업 준비생들의 생각은 그렇지 않다. 취업 준비생들 사이에서는 “누구나 SSAT를 볼 수 있던 이전이 더 공평했다”, “결국 전공 관련자를 뽑는 다른 기업과 같아진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너무 많은 취업 준비생이 원서를 내는 데 따른 부작용 탓에 삼성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게 불가피한 측면은 분명히 있다고 본다. 하지만 삼성은 일각에서 나오는 새로운 채용 방식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을 받아들여 한국의 대표 기업답게 공정성에 문제가 없도록 세심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2014-11-0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