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통신의 히든챔피언 적극 육성”

“KT, 통신의 히든챔피언 적극 육성”

입력 2014-10-28 00:00
업데이트 2014-10-28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창규, ICT 포럼 ‘K챔프’ 제안

“KT가 정보통신기술(ICT)의 미래 성장 동력을 이끌어 갈 히든챔피언을 적극 육성하겠습니다.”

황창규 KT 회장이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글로벌 ICT 프리미어 포럼’에서 한국형 창조경제의 모델로 강력한 통신 인프라를 중심으로 대기업이 강소기업을 키우자는 ‘K챔프’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KT 제공
황창규 KT 회장이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글로벌 ICT 프리미어 포럼’에서 한국형 창조경제의 모델로 강력한 통신 인프라를 중심으로 대기업이 강소기업을 키우자는 ‘K챔프’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KT 제공
황창규 KT 회장이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글로벌 ICT 프리미어 포럼’에서 독일의 히든 챔피언을 벤치마킹한 ‘K 챔프’ 개념을 제안했다. 히든 챔피언은 연매출 6조 7000억여원(약 50억 유로) 이하로 규모가 작지만 각 분야에서 세계 3위권 내에 드는 ‘강소 기업’들을 일컫는 말이다. 독일에만 1300여개 기업이 몰려있다.

황 회장은 이날 강연에서 “많은 사람이 통신 산업이 포화에 이르렀고 추가 성장이 더 이상 어렵다고 말하지만 통신도 산업간 ICT 융합으로 새로운 시장을 열수 있다”면서 “일본, 이스라엘 등 70여개의 연구개발 기업들을 방문하며 미래 성장의 동력을 고민하던 중 국가차원에서 히든챔피언을 육성하고 있는 독일에서 그 답을 찾았다”고 운을 뗐다.

그는 다만 독일을 그대로 따라하기보다 우리만의 특수한 ICT 성장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를 견인했던 독일, 미국과 달리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전체 ICT산업의 성장을 견인해 왔다”면서 “통신사들이 주도하는 강력한 ICT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기업의 주도적인 역할과 강소기업의 열정이 합쳐지면 새로운 미래 동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황 회장은 “대기업은 그동안의 연구개발 역량, 글로벌 파트너십, 브랜드 파워로 중소기업을 돕되, 새로운 비즈니스 개발 과정에서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면서 “권한 위임만 할 게 아니라 위기관리 등 책임도 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 회장은 삼성전자 사장 시절 자신의 이름이 붙은 ‘황의 법칙’을 소개하기도 했다. 황의 법칙은 반도체 직접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하며 PC가 아닌 모바일 기기가 반도체 성장을 주도한다는 개념이다. 그는 “모바일 혁명이라고 하면 스티브 잡스가 떠오르겠지만 애플 제품의 생명력을 불어넣은 건 플래시 메모리 등 모바일 시대를 예측한 핵심 솔루션들이었다”면서 새로운 시장을 열어줄 ICT 산업의 미래로 ‘사물인터넷’을 꼽았다.

부산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0-28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