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리 몸 궁금증 풀어드려요] 긴장·초조할 때는 왜 화장실 자주 들락거리게 될까

[우리 몸 궁금증 풀어드려요] 긴장·초조할 때는 왜 화장실 자주 들락거리게 될까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요한 면접을 앞두고 긴장해 화장실을 들락날락하고, 아주 드문 일이긴 하지만 극심한 공포를 느꼈을 때 바지에 소변을 지리는 이유는 뭘까. 바로 긴장·초조·공포로 인한 급성 스트레스 때문에 소변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외부 환경 변화에 몸 스스로 반응하게 하는 자율신경계라는 게 있다. 자율신경계의 부교감 신경과 교감 신경은 대뇌의 지시를 직접 받지 않고 일종의 지방자치단체처럼 자율적으로 몸의 여러 기능을 조절한다. 방광에도 이런 자율신경계가 있어 소변이 차면 내보내고, 화장실을 가면 안 될 상황에서는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평상시 안정된 상태에서는 이런 부교감 신경과 교감 신경이 균형을 이뤄 정상적으로 소변을 보지만, 급성스트레스를 받으면 방어를 위해 교감 신경이 활성화돼 오작동을 한다.

교감신경은 방광에 소변이 350㏄ 이상 찼을 때 요의를 느끼게 하고, 혹시 소변이 샐지 모르니 방광문을 닫아주는 역할을 한다. 평소 방광에 소변이 350㏄보다 적게 있으면 요의가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방광에 소변이 50~100㏄밖에 차지 않았는데도 소변이 꽉 차 마려운 느낌을 뇌에 전달한다. 그래서 중요한 시험이나 발표를 앞두고 10분 간격으로 화장실을 들락날락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이럴 때 화장실을 가면 분명히 소변이 마려웠는 데도 나오는 소변량은 얼마 되지 않는다.

심한 공포를 느꼈을 때 바지에 소변을 지리는 이유는 조금 다르다. 방광에 소변이 50~100㏄밖에 차지 않으면 아무리 공포를 느껴도 지릴 정도는 안 된다. 적어도 방광에 소변이 300㏄는 차야 이런 일이 벌어진다. 주위에 화장실이 없고 화장실 갈 상황도 안 된다면 교감신경이 소변 마려운 느낌을 전달해도 대뇌는 ‘참으라’고 한다. 하지만 공포로 두려움이 밀려오면 대뇌도 상황 판단을 못 하고 소변을 보라고 신호한다. 그러면 또 다른 자율신경인 부교감 신경이 상황과 관계없이 방광 배뇨근을 수축해 방광문을 열어버린다.

이대목동병원 비뇨기과 심봉석 전문의는 “여성은 요도 괄약근이 남성보다 약해 공포로 몸이 굳고 아랫배에 힘이 들어가면 복압이 방광에 바로 전달돼 이런 요실금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목숨이 위태로울 정도의 극심한 공포가 엄습하면 몸이 순간적으로 마비되고 결국은 자율신경계도 작동이 안 돼 이런 과정도 없이 바지에 소변을 보게 되는 일도 있다. 공포와 맞서 싸울 것인지, 아니면 달아날 것인지 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싸움이나 달리기에 필요하지 않은 기능은 억제되고 방광과 장은 풀려버린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9-2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