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전 미국이나, 현재 서울이나 도망치려는 현대인은 다 똑같아

70년 전 미국이나, 현재 서울이나 도망치려는 현대인은 다 똑같아

입력 2014-08-19 00:00
업데이트 2014-08-19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태숙 연출 ‘유리동물원’ 번역극 생경함 극복… 배우 이승주·김성녀·정운선 원작 참맛 살려내

외국의 희곡을 한국의 무대에 올리는 번역극은 때로 생경함이 한계로 다가온다. 이국의 지명과 사람 이름, 시대적 배경이 극 초반부터 쏟아지며 어쩔 수 없는 거리감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태숙이 연출한 ‘유리동물원’은 극중 배경인 1940년대 미국과 2014년 한국 사이의 시공간적 거리를 훌쩍 뛰어넘는다. 현실에서 도망치려 자신만의 세계에 스스로를 가둬놓는 무대 위 인물들의 모습이 전혀 낯설지 않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유리동물원’은 미국의 극작가 테네시 윌리엄스가 1945년 발표한 자전적 희곡이다. 술과 놀음을 좋아했던 아버지와 신경과민의 강압적인 어머니 밑에서 보낸 소년 시절은 그에게 트라우마로 남았다. 그런 그의 과거는 시인을 꿈꾸지만 생계를 위해 창고에서 일하며 영화관만이 유일한 탈출구인 도시 빈민가 청년 ‘톰’으로 형상화된다. 여기에 과거의 영광을 과대망상증처럼 부풀리고 집착하는 어머니 아만다, 집에만 틀어박혀 살아가는 누나 로라가 모여 사는 낡은 공동주택은 건드리면 깨질 듯한 ‘유리동물원’ 그 자체다.

한태숙 연출은 생경한 외국 지명이나 우리 정서에서 이해하기 힘든 문화 등에 손질을 거쳤다. 1940년대 미국을 떠올리게 하는 요소들이 덜어진 연극은 그래서 2014년의 한국에서 쉽게 와닿는다. 현실을 부정하려 자기 과시에 매달리는 아만다, 그런 집을 떠나려 하지만 주변을 맴돌 수밖에 없는 톰은 약해 보이지 않으려 발버둥 치는 현대인의 자화상이다. “난 절름발이잖아요”라면서 자신을 집에 가둬 놓는 로라의 자기 연민 또한 현대인이 스스로 둘러친 방어기제와 다름없다.

‘연극의 정석’으로 불리는 원작 희곡의 참맛을 살린 건 배우들의 또렷한 연기다. 톰 역의 이승주는 가정에 대한 애증을 복잡한 감정의 촘촘한 결 위에 올려놓았고, 아만다 역의 김성녀는 수다스럽고 위선적인 중년 여성의 캐릭터마저 연민을 느끼게 만든다. 그 사이에 조용히 빛을 발하는 건 로라 역의 정운선이다. 티격태격하는 톰과 아만다 사이에서 대사가 많지는 않지만, 시종일관 가늘게 떨리는 목소리와 움츠러든 어깨, 소심한 손의 움직임까지 신경쇠약증에 가까운 로라의 모습을 온몸으로 묘사했다.

진지한 가운데 터져나오는 소소한 유머도 돋보인다. 현실을 냉소하면서도 어떻게든 딛고 살아내려 하는 인물들의 절박함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오는 30일까지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 2만~5만원. 1644-2003.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08-19 1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