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감독님 손자병법 읽어보셨나요/강신 체육부 기자

[지금&여기] 감독님 손자병법 읽어보셨나요/강신 체육부 기자

입력 2014-07-05 00:00
업데이트 2014-07-05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신 체육부 기자
강신 체육부 기자
홍명보 감독님 안녕하세요.

혹시 ‘손자병법’이라는 책 읽어보셨습니까. 저는 최근에 읽었습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병법가 손무(孫武)가 쓴 책입니다. 많은 이가 중국 고대의 가장 걸출한 병서라 평하더군요. 아마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문장은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손무는 자신의 병법에서 “장수가 용맹이 지나쳐 반드시 죽으려고 한다면 죽을 수 있다”고 썼습니다. 저는 이 부분에서 멈출 수밖에 없었습니다. 갑자기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가 생각났기 때문입니다.

장군은 왜군과의 명량해전을 하루 앞둔 정유년(1597년) 9월 어느 날 “병법에 이르면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려고 하면 죽는다’고 하였다”고 휘하의 장교들을 독려했습니다.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則生 必生則死), 유명한 말씀이지요.

난감해졌습니다. 손자는 죽으려 든다면 진짜 죽는다고 했는데, 죽으려 하면 비로소 살길이 보인다니요. 누가 맞고 누가 틀린 걸까요. 급히 난중일기를 펴들었습니다. 필생즉사, 다음 문장에 길이 보이더군요.

장군은 “‘한 사람이 죽을 각오로 길목을 지키면 천 사람도 두렵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이는 오늘의 우리를 두고 이른 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장군은 그 말 그대로 좁은 수역으로 적의 대군을 유인해 승리했습니다.

이미 장군의 머릿속에서 명량해전은 완성돼 있었던 모양입니다. 아마 자신도 죽을 각오로 전략을 짜고, 부하들과 죽을 각오로 싸워서 살아남은 게 아닐는지요.

손무의 병법에 나온 말도 해석을 찾아보니, 지나친 무모함은 자신은 물론 자신의 군대까지 사지에 몰아넣을 수 있다는, 그래서 장수는 고집과 편견을 경계하고 균형잡힌 이성으로 무장해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저는 이 두 문장을 ‘장수는 싸우되 계책을 세우고 필사적으로 해야 산다’는 뜻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이미 지난 일이지만, 굳이 묻습니다. 감독님의 머릿속에서 브라질월드컵은 완성돼 있었습니까. 혹시 부족한 계획, 넘치는 편견으로 밀어붙인 건 아니었습니까. 저는 알제리전에서 전반을 0-3으로 뒤진 채 벤치에 앉아 고개를 떨군 감독님의 모습을 기억합니다. 그건 패장의 모습이었습니다.

내년 호주 아시안컵대회까지 대한민국 축구대표팀 감독직을 계속 맡는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다른 모습을 기대합니다. 손무와 충무공의 ‘금과옥조’가 녹아든 홍명보의 대표팀을 이제는 보고 싶습니다.



xin@seoul.co.kr
2014-07-0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