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친은 6·25·아들은 아덴만서… 국군과 공조

부친은 6·25·아들은 아덴만서… 국군과 공조

입력 2014-06-24 00:00
업데이트 2014-06-24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군과 협력하는 고트니 父子

미국 해군 제독의 아버지가 아들의 권유로 6·25전쟁에 참전한 경험을 생생하게 밝혔다. 미국 내 6·25 참전용사 기록에 대한 디지털화 작업을 벌여온 한국전참전용사디지털기념관 한정우 이사장과의 인터뷰를 통해서다.

이미지 확대
윌리엄 E 고트니(왼쪽) 미 해군 함대 사령관이 6·25전쟁 당시 해군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한 아버지 윌리엄(오른쪽)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한국전참전용사디지털기념관 동영상 캡처
윌리엄 E 고트니(왼쪽) 미 해군 함대 사령관이 6·25전쟁 당시 해군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한 아버지 윌리엄(오른쪽)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한국전참전용사디지털기념관 동영상 캡처
6·25 전쟁 발발 64주년을 앞두고 22일(현지시간) 기념관 측이 홈페이지에 올린 인터뷰 동영상에 따르면 해군 함대 사령관을 맡고 있는 윌리엄 E 고트니(59) 제독의 아버지 윌리엄 고트니(90)는 1950년 6·25전쟁 당시 38선을 처음으로 넘어 평양 공중폭격에 나섰던 해군 전투기 조종사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서해 항공모함에서 출격한 우리는 38선을 최초로 넘어 평양으로 향했고, 도착 직후 활주로부터 집중 폭격했다”며 “야크기를 앞세운 북한 공군은 우리 제트기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7월 3일 출격일이 되자 전체 항공편대 지휘관과 그의 호위를 맡은 고트니가 최선두로 나섰다. 이들은 신형 제트기를 타고 38선을 넘어 북쪽으로 진격했고, 북한 전투기들이 운집한 평양 활주로부터 집중 폭격했다. 북한의 대공방어망의 주력은 40㎜ 대공포였으나 전혀 힘을 쓰지 못했다. 9월 인천상륙작전 이후에는 북한군의 주요 진지를 폭격하는 데 주력했다. 중국과 북한을 연결하는 압록강 철교를 폭파하는 임무도 맡았다.

1961년 미국 7함대에서 근무하며 한국을 방문했던 고트니는 “전쟁 당시 건물조차 남아있지 않던 한국이 단기간에 이룩한 산업화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의 인터뷰는 자신의 뒤를 이어 전투기 조종사가 된 아들 고트니 제독이 지난 4월 말 한 이사장 등과 만나 아버지가 6·25전쟁 참전용사라고 소개해 이뤄졌다. 고트니 제독은 지난해 9월 아덴만에 파병된 한국 청해부대와도 협업하는 등 한국과의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6-24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