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추상 하모니즘 창시… ‘한국의 피카소’ 하늘 화단으로

구상·추상 하모니즘 창시… ‘한국의 피카소’ 하늘 화단으로

입력 2014-06-10 00:00
업데이트 2014-06-10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술계 원로 김흥수 화백 타계

‘한국의 피카소’라 불린 원로화가 김흥수 화백이 9일 서울 종로구 평창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5세.
이미지 확대
생전에 자신의 작품 앞에 앉은 고(故) 김흥수 화백. 고인은 불편한 몸에도 최근 작품전을 열고 싶어 했을 만큼 그림에 대한 열정이 뜨거웠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생전에 자신의 작품 앞에 앉은 고(故) 김흥수 화백. 고인은 불편한 몸에도 최근 작품전을 열고 싶어 했을 만큼 그림에 대한 열정이 뜨거웠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김 화백의 유족은 이날 “새벽에 잠깐 일어나 물을 드시고 얼마 뒤 돌아가셨다. 갑작스러운 일이었지만 그래도 편안하게 눈을 감으셨다”고 전했다. 고인은 2002년 이후 세 차례 척추수술을 받아 잘 걷지는 못했으나 최근까지 전시를 관람하고 작품을 출품하기도 했다.

함경남도 함흥 출신인 김 화백은 1944년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하고 1952년 서울예술고 미술과장과 서울대 미술대 강사를 지냈다. 구상화 양식에 향토애적 주제나 인물, 정물에 초점을 맞췄던 그림은 1955년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면서 전기를 맞았다. 7년간 파리에 머물며 야수파, 입체파, 표현파 등을 두루 섭렵한 뒤 그의 작품세계의 주요 소재이자 주제로 누드가 등장했다.

이후 한국 근현대미술의 거목으로 국내 화단을 대표하던 고인은 1977년 구상과 추상을 한 화폭에 아우르는 조형주의인 ‘하모니즘 미술’을 선언해 국내 화단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당시 김 화백은 ‘조형주의 예술 선언’에서 “음과 양이 하나로 어울려 완전을 이룩하듯 사실적인 것과 추상적인 두 작품세계가 하나의 작품으로 용해된 조화를 이룰 때 조형의 영역을 넘는 오묘한 예술세계가 전개된다”고 주장했다.

고인은 1990년 프랑스 파리 뤽상부르미술관, 1993년 러시아 모스크바 푸시킨미술관과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주박물관 등에서 개인전을 열어 세계적인 평가를 받았다.

1992년 사제지간이던 고 장수현 화백(김흥수미술관 관장)과 43세의 나이 차를 극복하고 부부의 연을 맺어 큰 화제를 낳기도 했다. 장 화백은 2012년 난소암으로 먼저 세상을 떠났다. 자신에게 헌신하느라 개인전을 열지 못한 부인을 안쓰러워했던 고인은 지난해 10월 부인의 1주기 추모전을 열었으며, 그 추모전에서 “하모니즘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싶었는데 국내에서 너무 몰라줘 잘 안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말년에는 서울 종로구 평창동 김흥수미술관에서 직접 어린이영재미술교실을 운영하며 교육에 힘을 쏟았다. 지인들에 따르면 최근까지도 고인은 미술에 대한 열정을 꺾지 않았으며, 본인이 중요하게 꼽는 작품들을 모아 전시를 열고 싶어 했다. 고인의 외손자인 영화 ‘풍산개’의 전재홍 감독은 “지금에야 머리가 맑아졌고 미술을 알 것 같은데 90대 노인이 돼버려 생각대로 못 하는 게 화가 난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유족은 3남 1녀.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장례는 5일장으로 치러지며, 발인은 13일 오전. (02) 2072-2011.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6-10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