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농업의 6차산업, 귀농인의 몫/박재동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기고] 농업의 6차산업, 귀농인의 몫/박재동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입력 2014-06-09 00:00
업데이트 2014-06-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재동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박재동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농업부문은 너무나 큰 타격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정부에서는 FTA의 파고를 넘고, 농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농업의 6차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6차산업은 ‘1차+2차+3차산업’의 개념이 아닌 ‘1차×2차×3차산업’인 융합산업으로의 개념을 가져야 한다. 친환경농산물 생산, 농산물의 가공, 농촌체험관광과 연계한 농업의 6차산업화는 누가 할 것인가. 기존의 농업인들이 하기엔 너무나 힘겹다. 농업의 6차산업화는 ‘귀농인의 몫’으로 돌려야 한다. 직장 및 도시생활에서의 경영노하우를 농업에 접목시켜 6차산업화하는 것은 귀농인들에게는 적격일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공식집계에 의하면 귀농·귀촌 가구가 2010년 4067가구에서 2012년 1만 1220가구로 급증했다. 이는 농촌에서의 인생 2막을 꿈꾸는 도시의 정년 퇴직자들이 주를 이루지만 산업에서 차지하는 한 분야로서 농업에 대한 도전 및 직업 전환을 꿈꾸는 20, 30대의 젊은 도시민들도 많다.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으는 베이비붐세대들(1955~63년생 712만명, 전체 인구의 14.6%)의 정년퇴직 시기가 도래하면서 귀농·귀촌의 꿈이 더욱 관심사가 되고 있다. 또한 농어촌의 인구감소 및 노령화로 2012년 현재 289만 농가인구 중 65세 이상이 34% 정도로 추산되고 있으며 116만 농가 중 65세 이상 경영주가 63%나 된다.

6차산업이 왜 필요한가. 농업·농촌은 FTA와 기상재해, 국제경기 불안, 고령화 등으로 농가소득 창출에 위협을 느끼고 있으며, 농촌경제 침체 및 활력이 저하되고 있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절실하다. 농업·농촌이 생산중심의 먹거리 산업 한계에서 탈피가 시급하다. 6차산업의 과제로는 육성기반을 구축해야 하며, 산업화를 촉진시키고 유형별 사업 발굴 지원 및 공동체 주도의 단계별 산업화, 우수경영체의 지원 및 안정적 소득창출을 위한 판매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농산물 생산은 전문 농업인에게 맡기고 귀농·귀촌인들은 농업의 6차산업화, 농촌개발의 주역, 마을리더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결국 귀농·귀촌과 6차산업의 조화를 어떻게 이루느냐에 따라 일자리 창출은 물론 농촌의 공동화도 해결될 것이다. 귀농인구가 늘어나면 농촌의 생활환경도 따라서 좋아지고 폐교도 부활되며 병원 및 문화시설 등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답을 찾을 수 있다. 정부에서도 귀농·귀촌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는 이 시점이 6차산업의 적기가 아닌가 생각된다.
2014-06-09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