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세종시 사무관의 힘/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세종시 사무관의 힘/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6-09 00:00
업데이트 2014-06-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무원 수험가에는 ‘25세에 7급으로 합격해 35세에 5급 사무관이 되느니, 35세에 고시를 합격하는 게 낫다’는 말이 있다. 7급 시험과 달리 행정고시에 합격하는 사무관이 고위 공직자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뜻이다. 이런 매력에 수많은 공시족(公試族)들이 지금도 골방에서 머리를 싸맨 채 몇 년이고 ‘바늘구멍’을 통과하기 위해 열공 중이다. 그러니 ‘고시낭인’이란 말도 나올 만하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세종시 야권 후보자의 당선에 공무원 표심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위 공직자는 자녀교육 등으로 이주를 꺼린 반면 이곳에 주소를 옮긴 미혼 사무관들이 선거 판세에 상당한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공무원 개혁을 마뜩잖게 여기는 ‘반란표’라는 분석도 있다. 정치권에선 이를 젊은 ‘사무관의 힘’으로 본다. 인구 13만명의 세종시에는 16개 부처와 기관에서 근무하는 1만 1200명의 공무원이 거주한다. 이는 유권자(10만 1600명)의 10%에 해당한다.

사무관은 ‘공무원의 꽃’으로 불린다. 6급 주무관과 4급 서기관의 중간이다. 국가직 사무관은 한 해에 300명 정도를 뽑는다. 현재 1만여명(10여%)이 근무하고 있다. 주무관의 직급이 도입되기 전에는 주사(主事·6급)의 ‘사’(事)를 벗고 관리자인 ‘관’(官)의 명칭을 다는 직급이었다. 9급에서 5급이 되려면 20~30년 걸린다니, 하늘의 별 따기다. 국가 정책과 예산의 청사진은 모두 이들의 손을 거친다. 대우는 주무관과는 사뭇 다르다. 국새와 대통령 직인이 찍힌 임명장을 받고, 해외 직무훈련의 대상도 된다. 반면 장차관의 행사가 있을 땐 숙소와 교통 예약을 하는 등 자질구레한 일을 도맡는다. 그야말로 ‘슈퍼맨’ 역할을 해야 한다. 9급이나 7급에서 시작하는 지자체에서의 사무관의 위상은 상당하다. 시·군·구에서는 과장 직책을 맡고, 읍·면·동장의 자리도 이들 몫이다. 부처에선 젊음과 패기로, 지자체에선 경륜으로 일하는 셈이다.

사무관과 관련한 흥미로운 얘기도 많다. 1970년대만 해도 행시에 합격한 20대 사무관이 더러 고향땅 군수로 내려가곤 했다. 30대 후반 총리가 나올 때였으니 그럴만도 했다. ‘유신 사무관’이란 불명예도 갖고 있다. 1977~87년 10년 동안 736명이 사무관으로 특별 채용됐다. 행시에 합격하고 시보 교육을 받을 땐 으레 ‘마담뚜’의 전화를 심심찮게 받는 것은 또 다른 일면이다.

세종시 공무원의 표심은 그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전국 10개 혁신도시에는 공기업들이 속속 입주 중이다. 이들이 거주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도 생겨났다. 이들 외지인이 지역색이 완연한 지금의 선거판을 깨줄지 궁금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6-09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