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기홍의 시시콜콜] 투표소에서 고쳐야 할 디테일

[정기홍의 시시콜콜] 투표소에서 고쳐야 할 디테일

입력 2014-06-06 00:00
업데이트 2014-06-06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잔칫날이 그렇듯이 투표 날도 부산스럽긴 마찬가지다. 오랜만에 한 표를 행사하는 설렘과 약간의 김장감은 즐기기에 괜찮다. 지방선거 투표 날인 그제, 이런저런 무거운 의미에 비해 투표장에 가는 발걸음은 가벼웠다. 선거가 ‘민주주의 꽃’이며 축제란 담론 때문만은 아니다. 나의 투표장에서만일까. 이날 투표소에서의 짧은 체류는 혼란스러운 잔영(殘影)만을 남긴 시간이었다.

이미지 확대
정기홍 논설위원
정기홍 논설위원
오전 10시의 투표소는 붐비지 않았다. 그런데 주소 확인 때부터 산만했다. 관리요원 옆에 앉아 잡담하는 젊은 여성에서 시작된 혼란스러움은 투표소 안에서까지 이어졌다. 그 여성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지금도 궁금하다. 투표소 안, 첫 기표지(3장)를 받으려는데 아주머니가 불쑥 내 앞으로 나선다. 두 명의 관리 요원이 기표지를 나눠주기 때문이다. 두 번째 기표지(4장)를 받고서 헷갈림은 더했다. 동선(動線)이 헷갈린다. 투표를 끝내니 시험을 치르고 고사장을 빠져나온 딱 그 느낌이다. 투표소 안의 선후 교통정리 문제다.

투표소의 공간은 20평(66㎡) 안팎이었다. 그런데 그곳엔 투표자보다 훨씬 많은 20명 정도가 자리 잡고 있다. 누가 선거관리자이고 참관인인지 분간이 어렵다. 이들의 복장은 손에 쥔 7장의 용지만큼이나 다양하다. 최소한 관리 요원의 옷 색깔을 흰 블라우스와 셔츠 등 단색으로 통일하는 게 낫지 않을까. 투표하는 사람이 번잡스러운 분위기에 당황해서는 안 된다. 강제할 사안은 아니지만 배려라면 배려다. 처음 도입된 ‘가림막 없는 기표소’도 기왕에 도입했으면 빠른 정착이 필요해 보인다. 전주에서 일반투표자가 가림막을 쳐달라며 소동을 벌였지만, 장애인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가림막 설치 조항을 놔둘 이유가 있을까. 현행 규정엔 누구나 원하면 임시 가림막을 설치해 주게 돼 있다.

투표 현장이 어수선하면 실수가 나오게 된다. 왕왕 논란의 불씨도 된다.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와 선거일 투표 간의 이중투표 논란도 미흡한 점검에서 나왔다. 이 혼선은 개표 때까지 이어졌다. 전산시스템 운영 등 제도의 문제이자 현장 요원의 사전교육 문제다. 투표 날의 단상들이 소소한 것일 수는 있다. 그럼에도 지방선거는 ‘동네 일꾼’을 뽑는 일이다. 선거 때마다 나오는 촌극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8년 전 지방선거에서 동수 득표한 군수 후보자가 재검표 끝에 한표 차로 낙선한 사례가 있다. 투표 현장의 작은 혼란은 당락을 바꾸는 단초가 된다. 유권자들은 “막상 투표소에 들어서면 혼란스럽다”고 한다.hong@seoul.co.kr
2014-06-06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