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이빙벨 결국 빈손 철수… 실종자 가족 두번 울렸다

다이빙벨 결국 빈손 철수… 실종자 가족 두번 울렸다

입력 2014-05-02 00:00
업데이트 2014-05-02 04: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씁쓸하게 퇴장하는 ‘다이빙벨’

민간 구난업체 알파잠수기술공사의 이종인 대표와 그의 잠수 장비 ‘다이빙벨’은 두 차례의 투입 끝에 결국 ‘빈손’으로 세월호 침몰 해역에서 철수했다. 현장에서는 다이빙벨에 대한 투입 논란이 거듭되면서 수색 작업이 지연되는 등 대가를 치러야 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이미지 확대
“다이빙벨은 실패”
“다이빙벨은 실패” 해난 구조 지원 장비 ‘다이빙벨’을 이용해 잠수 수색 작업을 시도했던 이종인(왼쪽)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가 1일 “다이빙벨은 실패했다”고 말한 뒤 고개를 숙이고 있다.

진도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논란만 남기고 철수
논란만 남기고 철수 세월호 사고 발생 16일째인 1일 구조 수색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다이빙벨을 실은 바지선이 작업을 철수하고 돌아오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진도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지난달 21일 장비를 싣고 구조 현장에 온 이 대표는 “다이빙벨을 이용하면 잠수사들이 바다 밑 수십m 지점에서 1시간 넘게 수색·구조 작업을 벌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초 해양경찰청은 “구조 작업에 오히려 방해가 된다”며 다이빙벨 투입을 막았다. 하지만 지난달 24일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과 해경 수뇌부는 실종자 가족들의 거센 요구를 받아들여 뒤늦게 다이빙벨의 현장 투입을 결정했다.

이후에도 다이빙벨은 사고 해역의 기상 조건이 좋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사고 해역에 설치되지 못한 채 전남 진도 팽목항에서 대기했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달 30일 처음으로 투입됐다. 하지만 20여분 만에 물 밖으로 나온 데 이어 1일에도 다이빙벨을 통해 투입된 알파 측의 잠수부들이 단 한구의 시신도 수습하지 못한 것은 물론 격실 진입에 실패한 채 물러섰다. 결국 이 대표는 “다이빙벨은 실패했다”고 인정했다.

이 대표는 이날 다이빙벨을 철수하면서 “현재 구조당국이 수색을 하고 있는 와중에 괜히 끼어들어 분란을 일으킨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이전과는 다른 태도를 보였다. 믿었던 다이빙벨마저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실종자 가족들은 또 한번 눈물을 삼켰다. 당초 20시간 수색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이 대표는 “처음부터 할 수 없었다”면서 “자원봉사 잠수사가 많을 줄 알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작업 자체가 실종자 수색에 목표가 있었는데 결과가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2~3번째 (투입에) 성과가 나와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고 만약 우리가) 공을 세웠을 때의 분란과 사기 저하 등을 일으키고 싶지 않았다. 한명이라도 빨리 구해야 하지 않은가”라고 덧붙였다.

민간 잠수업체인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와는 마찰이 있을 수 있지만 해경과의 협조는 잘 이뤄졌다고도 했다. ‘구조 작업에 혼선을 빚은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예상하지 못했다. 제가 써 봤으니까 조류가 있어도 장비 운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증명됐다”고 말했다.

두 번째 투입에서 다이빙벨을 통해 투입된 잠수부가 선내 진입까지 성공하고도 철수한 이유에 대해 “사업하는 사람으로서 실력을 입증받을 수 있는 기회였다”면서 “이번 일로 인해 앞으로 질타받고 사업에도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앞서 이날 오전 팽목항에서 진행된 최상환 해경 차장의 브리핑에서 일부 실종자 가족들은 다이빙벨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다이빙벨을 바다에서 실험하는 것이냐”며 투입 중단을 건의했다. 또 다른 가족은 “해경 쪽 전문가들이 알아서 다이빙벨 투입 여부에 대해 판단해 달라”고 전하기도 했다.

진도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서울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5-02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