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굽음증 10대 여성에 많이 발병

척추굽음증 10대 여성에 많이 발병

입력 2014-02-24 00:00
업데이트 2014-02-24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만명 당 환자 1183명 전체 평균 291명의 4배

척추가 옆으로 휘는 척추옆굽음증, ‘꼬부랑 할머니’처럼 앞 또는 뒤로 휘는 척추뒤굽음증·앞굽음증에 걸린 여성이 남성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척추굽음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진료인원은 여성 9만 4254명, 남성 5만 459명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1.9배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0대 여성 척추굽음증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1183명으로 전체 평균 291명보다 4.1배가 많았다.

척추굽음증 전체 진료비는 2012년 약 223억원으로 2008년 200억원보다 11.5%증가했다. 최근 5년간 환자가 급증한 셈이다.

척추굽음증이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진 게 없다. 주로 척추뒤굽음증과 앞굽음증은 50대 이상의 폐경기 여성 중 골다공증이 심한 사람들에게 관찰되는데, 여성 호르몬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될 뿐이다.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김형석 교수는 “남성보다 여성이 갱년기 이후 호르몬이 급속히 줄어들기 때문에 여성의 척추건강이 남성보다 취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춘기 여자 청소년에게 많이 발생하는 척추옆굽음증 역시 의학적으로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예방이 어렵다. 따라서 양쪽 어깨의 높이가 다르고, 뒤에서 볼 때 척추가 휘어진 것처럼 보이거나 등이 불균형적으로 튀어나왔다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척추굽음증이 심하면 흉곽(가슴을 둘러싼 뼈대)이 제대로 늘어나지 않아 제한성 폐기능 장애가 오고, 이로 인한 심장 기능 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미한 경우는 증상이 거의 없고 압박골절이 없는 한 통증도 발생하지 않는다.

치료 방법은 연령대별로 다르다. 연령대가 높은 여성은 골다공증이 있을 경우 약물치료와 함께 척추 주위 근육을 강화하는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성장기 청소년은 척추보장구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상당히 고가인데다가 하루 착용시간이 23시간 이상이어서 오랜 시간 착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오히려 척추 근육을 강화하는 수영 같은 운동이 효과적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2-24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