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宮도 화염속으로 보스니아 폭력시위 격화

대통령宮도 화염속으로 보스니아 폭력시위 격화

입력 2014-02-10 00:00
업데이트 2014-02-10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영화 기업 파산에 분노 확산 33개市 시위… 300명 부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1995년 내전이 종식된 후 최악의 유혈 폭력 시위가 발생, 수백명이 다쳤다. 정치 지도자들의 국가 운영 능력 부재로 사태가 악화할 수도 있다는 끔찍한 경고도 나온다고 AFP 등 외신들이 9일 전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 동북부 산업도시 투즐라에서 발생한 시위가 5일째 계속되면서 수도 사라예보 등 33개 도시로 확산됐다. 시위대 200여명과 경찰 100여명이 대치 과정에서 다쳤고 사라예보의 대통령궁을 비롯한 정부 청사가 불길에 휩싸였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시위의 배경에는 1992~95년 10만여명이 숨진 내전 이후 실시된 민영화에 있다. 투즐라에 있던 가구 및 세제 공장 등 4개 국영기업을 민영화했으나 새로운 기업주가 자산을 팔아치워 결국 파산했다. 이에 중산층이 와해되고 노동자들은 더욱 빈곤해진 반면 몇몇 재벌의 배만 불렸다는 인식이 팽배해 투즐라에서 노동자 시위가 발생했고, 다른 도시들이 연대하면서 확산됐다.

이 나라의 평균 실업률은 44%이지만 15~24세 청년 실업률은 57.5%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다. 또 국민의 20% 정도가 빈곤선 이하에서 살고 있다. 월평균 수입은 420유로(약 61만원)로 발칸 반도에서 가장 가난하다.

경제적 어려움에 따라 유럽연합(EU)이 재정지원을 위해 2012년 중반 고위급 회담을 시작했다. EU가 투명성을 담보할 개혁을 요구했지만 인종별 정치 시스템이 이를 가로막아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내전 후 이 나라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무슬림 세르비아인) 간의 권력 분점 시스템과 함께 인종적으로 보스니아·크로아티아 연방과 세르비아 공화국으로 쪼개져 있다. 각각은 중앙정부와는 별도로 대통령과 의회 등의 정부를 가지고 있다. 또 연방에서는 10개의 주가 비슷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국민은 4개 정부의 통제를 받고 있으며 중앙집권화는 자치를 훼손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비효율적인 이 제도를 지키고 있다. 수년 동안 정치적 무기력에서 비롯된 문제가 터져 나온 셈이다.

이기철 기자 chuli@seoul.co.kr
2014-02-10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