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누군가 본다고 느낄 때 착한 척하죠, 왜 그럴까

누군가 본다고 느낄 때 착한 척하죠, 왜 그럴까

입력 2013-12-21 00:00
업데이트 2013-12-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모습을 바꾸는 인간… ‘도덕적’이고 싶어 하는 그 욕망에 숨은 착각

도덕적 인간은 왜 나쁜 사회를 만드는가/로랑 베그 지음/이세진 옮김/부키/368쪽/1만 6000원



한 연구에 따르면 조깅을 하는 사람들은 누군가가 자기를 보고 있다고 생각될 때 좀 더 열심히 달린다고 한다. 혼자 공중화장실에 있을 때보다 다른 이가 함께 있을 때 볼 일을 본 뒤 손을 씻는 빈도가 높아진다거나 고사실의 조명시설 숫자가 적을수록 커닝 등 부정행위 횟수가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타인의 존재가 자신의 행동을 억제하거나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셈이다.

이미지 확대
거울을 보고 있는 남자. 스스로 만족스럽지 못한 행동을 저지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거울 앞에 앉기를 꺼리지만 반대로 뿌듯한 성취나 선행을 한 사람은 거울이 없는 곳보다 거울이 있는 곳을 더 좋아했다.  부키 제공
거울을 보고 있는 남자. 스스로 만족스럽지 못한 행동을 저지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거울 앞에 앉기를 꺼리지만 반대로 뿌듯한 성취나 선행을 한 사람은 거울이 없는 곳보다 거울이 있는 곳을 더 좋아했다.

부키 제공
새 책 ‘도덕적 인간은 왜 나쁜 사회를 만드는가’가 말하고 싶은 건 ‘도덕적 인간’이고 싶어 하는 우리의 욕망이다. 선과 악 자체엔 별 관심이 없다. 그저 선악이 우리 머릿속에서 어떤 형태를 취하는지, 그런 관념들이 타인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관심사다. 이를 밝혀내는 수단이 수많은 실험과 사례다.

이미지 확대
책의 출발점은 타인의 시선이 머무는 곳이다. 이는 도덕이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왼손이 한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를 좌우명으로 삼고 있는 이라면 억울할 수도 있겠다. 자신의 고귀한 도덕성이 그저 타인의 시선에 의해 좌우된다는 게 말이다. 하지만 책에 나온 각종 실험과 사례들에 따르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모습을 바꾸는 인간의 도덕성은 ‘겁나게’ 많다. 이게 도덕적 착각이란 거다.

평균의 착각이라는 것도 있다. 자신이 중간 이상은 된다고 믿는 경향이다. 자신은 남들보다 늘 더 도덕적이다. 심지어 자기집 X개조차 앞집 개보다 나으면 나았지 모자라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런 경향에서 불화의 싹은 잉태된다.

우리 모두가 ‘착한 사람’이었다면 사회는 반드시 좋은 쪽으로 갔어야 했다. 하지만 현실은 ‘도덕적 인간’들이 모여 허구한 날 도덕의 기근을 개탄하는 형국이다. 왜 그런가. 자신은 착한 나라 사람이고 교도소에 모여 있는 죄수들만 나쁜 나라 사람들이어서?

책에선 독특한 실험들이 수없이 이어진다. 예컨대 폭력과 단맛 실험을 보자. 영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폭력전과가 있는 성인의 69%가 10세 어린이 수준으로 사탕과 초콜릿을 섭취했다. 단것을 찾는 건 욕구충족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이는 부모들이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적당히 단것을 먹도록 통제해야 한다는 경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도덕‘적’ 인간이 좋은 사회를 만들 가능성은 있을까. 뜻밖에 답은 익숙하다. 문제제기의 격렬함에 견주면 김이 샐 정도다. 자신이 도덕‘적’인 인간이란 걸 자각하는 거다. 저자는 “타인의 시선을 나를 돌아보는 거울로 활용한다면 우리는 비로소 서로의 온기를 나누는 ‘좋은 사회’에 한 발 더 다가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자는 ‘2013년 이그 노벨상’을 수상했다. 미국 하버드대의 유머 과학잡지 ‘애널스 오브 임프로버블 리서치’가 노벨상을 패러디해 만든 상이다. 고정관념이나 일상적인 사고로는 불가능한 기발한 연구나 업적을 대상으로 해마다 10월쯤 노벨상 발표에 앞서 수여된다. 바로 이 상이 기막힌 실험과 실험의 연속인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가늠할 만한 단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12-2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