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의 시시콜콜] 문화유산의 정치적 오용을 막으려면

[서동철의 시시콜콜] 문화유산의 정치적 오용을 막으려면

입력 2013-12-13 00:00
업데이트 2013-1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경복궁 창건은 조선 태조 3년(1394)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을 열었고, 바로 이듬해 완성했다고 하니 엄청난 속도의 공사였다. 물론 당시는 근정전과 편전인 사정전을 비롯해 당장 필요한 390칸의 전각만 서둘러 지었다. 광화문을 비롯한 궁성의 4대문과 담장은 1398년이 돼서야 착공할 수 있었지만 이것도 이듬해 완공했다.

대원군 시대의 경복궁 중건 역시 속전속결이었다. 고종 2년(1865) 영건도감(營建都監)을 설치하고 공사를 시작해 1868년에는 새 전각으로 임금이 옮겨갔다. 이듬해는 영건도감을 철폐했으니 불과 4년이 걸렸다. 당시 세워진 전각은 5792칸이라는 엄청난 규모였다. 숭례문은 2008년 2월 방화로 타버린 뒤 2013년 5월 준공식까지 복원에 만 5년이 조금 넘게 걸렸다. 그러니 복원에 필요한 시간이 짧아 부실이 빚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무엇보다 숭례문은 그렇게 엉망진창으로 복원되지 않았다. 단청과 기둥에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옛 기술을 잃어버려 문제가 생긴 단청은 시간을 두고 해결책을 찾으면 될 일이다. 갈라진 기둥 역시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 목재는 철근이나 콘크리트처럼 균질한 재료가 아니다. 아무리 잘 말려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비틀어지고 갈라지는 것을 완전히 막지는 못한다.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 짓자마자 물이 새는 것하고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많은 국민은 숭례문이 내려앉을 지경이어서 당장 해체해 복원 공사를 다시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두고 마치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복합적 오류의 집약체인 것처럼 자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당연히 단청과 같은 전통기법의 전승에 책임이 있음에도 소홀히 한 문화재 정책 당국에 일차적인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가장 큰 책임은 문화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에 있다.

숭례문 준공식은 정치적 필요에 따라 정해지고 변경됐다. 당초 준공식이 이명박 대통령 퇴임 직전으로 잡힌 것은 실적 과시를 위한 것이었다. 다시 잡힌 준공식 역시 새로운 대통령의 취임을 기념하는 의미가 부여되면서 정치적 성격에서 탈피할 수 없었다. 우리 사회는 철저하게 양쪽으로 갈려 있다. 정치적으로 이용된 문화재는 복원 시점부터 국민의 절반으로부터 흔쾌한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노무현 정부가 복원을 추진한 광화문도 다르지 않았다.

정치의 문화재 오용(誤用)을 막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다. 5년 임기의 정권이 업적으로 내세울 생각을 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하는 것이다. 몇년 동안의 복원이 마무리되면 3년 정도의 ‘하자보수 및 보호관찰’ 기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복원에 문제가 있었다고 해도 모두 보완하고 준공식을 갖는다. 이런 제도만 있었더라도 숭례문 복원 문제가 이렇게 시끄러워질 일은 없었다.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2-1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