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새로운 ‘논어’를 만나다

새로운 ‘논어’를 만나다

입력 2013-12-10 00:00
업데이트 2013-12-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最古 주석서 ‘역주 논어주소1’ 발간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회장 이계황)가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번역 사업의 첫 결실인 ‘역주 논어주소1’을 펴냈다. 십삼경주소는 중국 유가 13경전의 고주(古注)에 다시 주석을 붙인 책으로, 416권으로 이뤄져 있다.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경전’으로 공인받으며 국가 정책과 인재 등용을 위한 기본 교재로 인정받아 왔지만 그동안 완역된 적은 없다. 전통문화연구회는 십삼경주소를 10년 안에 30여 책으로 완간할 예정이다.‘논어주소’는 논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술된 가장 오래된 주석서다. 중국 위나라 하안(193~249)의 ‘논어집해’에 송나라 형병(923~1010)이 소(疏)를 달았다. 주희의 ‘논어집주’와 함께 대표적인 논어 주석서로 일컬어지지만 조선조 주자학을 관학으로 삼으면서 세인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 ‘논어주소’를 반영한 역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미지 확대
경문 번역과 해석에 있어 ‘논어주소’와 ‘논어집주’ 사이에는 일정한 차이가 있다. 가령 이인(里仁)편에 나오는 ‘아침에 도를 듣고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朝聞道夕死可矣)는 공자의 말을 집주는 “도는 사물의 당연한 이치이니 진실로 도를 듣는다면 살아서는 순하고 죽어도 편안하여 다시 여한이 없을 것이다. 조석은 그 시간의 가까움을 심하게 표현한 것이다”라고 해석한다. 이에 반해 주소는 “거의 죽을 때에 이르렀는데도 세상에 도가 있다는 말을 들을 수 없음을 뜻한 것이다”라면서 공자가 세상에 도가 없음을 탄식한 말이라고 풀이한다.

전통문화연구회 측은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했던 ‘논어집주’와는 다른 새로운 ‘논어’를 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로 한학자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과 신진 학자 이성민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이 공동으로 번역 작업에 참여해 학문적 엄밀성과 고전의 현대화에 심혈을 기울인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12-10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