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노후화 ② 컨트롤타워 부재 ③ 유지·보수 인력 감축

① 노후화 ② 컨트롤타워 부재 ③ 유지·보수 인력 감축

입력 2013-12-05 00:00
업데이트 2013-12-0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이은 원전 고장 3대 원인

꼬리를 무는 원전 가동 중단은 ‘추운 겨울’을 예고하는 신호다. 난방기 사용이 급증하는 내년 1월 중순을 앞두고 국내 원자력 발전기 23기 가운데 3분의1 정도인 7기가 멈춰선 상태다. 고리 1호기에 이어 6일 만에 터진 전남 영광의 한빛 3호기 가동 중단은 다음 주 겨울철 전력수급대책을 발표하려던 산업통상자원부로서는 예상치 못한 돌발변수다. 우려되던 겨울철 전력수급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전력거래소 및 전력 당국은 올겨울 최대 전력수요 시기를 내년 1월 중순, 최대 전력수요량을 8100만㎾로 전망하고 있지만 현재 전력 공급 능력은 7900만㎾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전력 피크 시기 전에 정비 중인 원전을 재가동해 전력난을 극복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한빛 3호기의 고장으로 이런 계획이 틀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정비를 거쳐 재가동한 지 6개월밖에 안 된 한빛 3호기가 갑자기 멈춰 섰다는 점에서 언제, 어느 원전의 가동이 중단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이는 전력 당국으로서는 뼈아픈 대목이다. 정부는 한빛 3호기까지 고장 남에 따라 화력발전소 등 타 발전시설의 출력을 높여 전력을 쥐어짜 낼 계획이지만 화력발전소도 지난여름 무리하게 가동한 탓에 언제 고장 날지 모를 상황에 놓였다.

전문가들은 끊이지 않는 원전 고장의 원인으로 원전의 노후화와 컨트롤타워 부재, 유지·보수 인력 감축 등을 꼽는다. 에너지정의행동이 이번 원전 고장을 계기로 올해 발생한 9건의 원전 고장 내역을 분석한 결과 8건이 기계적 결함에 따른 것이었다. 이 가운데 4건은 정비 이후 60일 이내에 고장 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28일 멈춘 고리 1호기는 계획예방정비를 마친 지 50여일 만에, 한빛 3호기는 원자로 제어봉 안내관 균열에 따른 정비 이후 재가동 6개월 만에 각각 다른 부품에서 또 고장이 발생했다.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는 “반복되는 원전 고장의 원인은 1차적으로 원전의 노후화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고, 더 넓게는 원전을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타워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전 유지·보수 인력 부족이 원전 고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이미 사전정비를 마친 원전 2기가 각각 다른 부품에서 고장을 일으킨 것은 그만큼 정비 자체가 부실했다는 증거”라면서 “이는 정비 기술의 문제라기보다는 그만큼 원전 유지·보수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여름철 전력난 탓에 고장 원전의 재가동을 서두르면서 부실 정비가 있었다는 의견도 있다. 적은 정비 인원들이 촉박한 재가동 일정을 소화하기 버거웠기 때문이다. 아울러 고장 원전 7기 가운데 신고리 1, 2호기와 신월성1호기의 가동 중단이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 파문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원전 비리도 연쇄 중단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셈이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3-12-05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