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오류 축소’ 논란에 교육부는 모르쇠

교학사 ‘오류 축소’ 논란에 교육부는 모르쇠

입력 2013-10-29 00:00
업데이트 2013-10-29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검토 작업 참여한 교사 주장 “오류건수 절반으로 줄여 발표”

교육부가 교학사 교과서를 비호했다는 주장이 고교 한국사 교과서 재검토에 참여한 내부 관계자로부터 제기됐지만, 교육부가 무대응하고 있어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교학사 비호 의혹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사실과 다르다”라고 구두로만 설명할 뿐 해명·설명 자료 등 문서로 된 자료를 일절 내지 않고 있다.

교육부의 재검토 작업에 참여한 교사 일부는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익명을 요구한 채 “지난달 중순 재검토에 착수할 때 교학사 교과서에서 발견된 오류가 440여건이었지만, 발표할 때가 되자 251건으로 줄었다”고 28일 주장했다. 지난 21일 교육부가 교과서 8종에 대한 수정·권고 사항을 공개했을 때 교학사 교과서의 오류 건수는 다른 교과서에 비해 2~4배 많았지만, 이 교사들의 주장대로라면 다른 교과서보다 4~7배 많은 수준이 돼 신뢰를 더 잃게 된다.

이런 주장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들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렇다면 재검토 초기부터 이후까지 교학사 오류 건수는 251건 안팎이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밝힐 수 없다”고 응수했다. 앞서 지난 23일 한국역사연구회, 역사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등 4개 역사단체가 의견서에서 “교육부가 교학사의 오류 200여건을 배제한 채 251건의 오류만 수정 권고를 내리고, 단순 맞춤법까지 지적하는 방식으로 다른 교과서 7종의 수정 권고 건수를 부풀렸다”고 했을 때 무대응한 것과 같은 행보다. 하지만 이번엔 교육부 재검토 작업에 참여한 교사들이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에 교육부의 무대응 전략이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가해졌다.

한편 교학사를 뺀 7개 출판사 집필진이 교육부 수정 권고를 따르지 않겠다고 밝힌 뒤 교육부는 수정명령을 내리기 위한 사전조치로 수정심의위원회 구성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 성향인 한국교총은 지난 23~25일 교사 288명을 설문조사해 80%가 ‘한국사를 검정에서 국정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반면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이 한국사 국정 전환에 강력 반대하고 오는 31일 교육부 확인 감사에서 관련 내용을 추궁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역사 논쟁’은 갈수록 확산될 전망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10-29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