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국정감사] “박정희 대통령때 확실히 안돼 따님인 朴대통령이 해결해야”

[2013 국정감사] “박정희 대통령때 확실히 안돼 따님인 朴대통령이 해결해야”

입력 2013-10-15 00:00
업데이트 2013-10-15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안부 할머니 외통위 증언

“교학사 역사교과서에서 1944년부터 위안부로 끌려갔다고 했는데 잘못됐죠?”(정청래 민주당 의원)

“그건 아주 잘못됐죠. 훨씬 앞에 갔는데요.”(김복동 할머니)

“애들한테 뭘 가르치겠냐고 말씀하셨는데, 통탄할 일이죠?”(정 의원)

“네?”(김 할머니)

이미지 확대
윤병세(왼쪽) 외교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한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의 손을 잡고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윤병세(왼쪽) 외교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한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의 손을 잡고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14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장.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88) 할머니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 할머니는 1992년 ‘위안부’ 피해자임을 밝힌 이후 유엔인권위원회에 처음으로 파견돼 그 실상을 증언했었다. 지난 7월 말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 시립공원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도 참석했다. 이날 외통위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유도 박근혜 대통령에게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질의에 나선 민주당 의원들은 김 할머니에 대한 질문을 교학사 역사교과서 왜곡 논란으로 연결하려 애썼다. 홍익표 의원은 “논란이 된 교학사 교과서에서 친일 왜곡 문제가 심각한데 위안부 문제까지 왜곡해 할머니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면서 “(교학사 교과서는) 일본 우익들이 얘기하는 것처럼 자발적 성매매가 있었던 것처럼 말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할머니는 “일본에서 교과서 말썽이 많은데 한국에서도 확실히 알지 못하고 내놓으면 애들이 뭐를 배우겠느냐”고 맞장구쳤다.

정 의원은 김 할머니에게 “(교학사 교과서가) 조선인 위안부는 일본인 부대가 이동할 때 따라갔다고 쓰고 있는데 맞나?”라고 질문했고, 김 할머니는 “끌고 갔죠. 따라간 게 아니죠. 아무것도 모르는 힘없는 농부의 자녀를 모조리 싣고 갔다”고 답했다.

김 할머니는 “박정희 대통령 때 확실히 해결해 줬으면 이 나이가 많도록 거리에 나앉아서 사죄하고 배상하라고 아우성치지 않았겠죠. 그때 해결이 안 된 것을 따님이 대통령이 됐으니 (해결해 줘야 되는 것 아니냐). 아직까지 이렇다 말 한마디 없으니 누구에게 하소연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3-10-1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