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논란 중심에 선 ‘봉하 이지원’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논란 중심에 선 ‘봉하 이지원’

입력 2013-10-03 00:00
업데이트 2013-10-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과 관련한 검찰 수사 과정에서 회의록 삭제 흔적과 함께 별도의 회의록 수정본이 발견되면서 이번 ‘사초 실종’ 논란의 한가운데에 놓인 ‘봉하 이지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봉하 이지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이후 참여정부 시절에 청와대에서 사용하던 통합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을 통째로 복제해 봉하마을 사저로 옮겨놓은 시스템을 말한다.

’봉하 이지원’의 원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은 ‘디지털 지식정원’의 약자로 노 전 대통령이 지시해 참여정부 때 구축됐다.

이지원을 통해 업무 수행자가 문서를 주고받으면 해당 문서 뿐 아니라 최초 생성 당시의 내용, 수정됐다면 그 시점과 수정자 등 모든 이력이 저장된다.

이지원은 2006년 2월 13일 노 전 대통령 등 5명 명의로 특허가 등록됐다. 이번 ‘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맡아 이지원을 살펴본 검찰 관계자는 “(기술적으로) 진일보한 것은 맞다”고 평가했다.

이지원 데이터 중 보존이 필요한 대통령기록물·비밀기록물·대통령지정기록물은 정권 교체기인 2008년 1∼2월 외장하드디스크(HDD) 97개에 담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됐다.

이 자료는 현재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PAMS)로 옮겨져 저장 및 관리되고 있다. 이지원의 ‘설계도’와 기록물 데이터를 함께 저장한 ‘소스코드 및 데이터 저장매체’(NAS)도 함께 이관됐다.

기존 이지원 서버는 보완과 교체를 거듭하며 청와대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이명박 정부 때에는 시스템 개편과 함께 ‘위민(爲民)’으로 이름이 바뀐 바 있다.

이와 별도로 노 전 대통령은 2008년 2월18일 이지원 시스템을 그대로 복제해 봉하마을 사저로 옮겨뒀고 이후 ‘기록물 유출’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시스템은 ‘봉하 이지원’으로 불리게 됐다.

이명부 정부는 2008년 4월 이후 수차례 노 전 대통령 측에 기록물의 반환을 요구했다. 같은해 7월 국가기록원이 ‘반환하지 않을 경우 관계법령에 따라 조치할 계획’이라고 통보하자 결국 노 전 대통령 측은 봉하 이지원 서버 하드디스크를 모두 반환했다.

수많은 전자기록물 사이에 잠자고 있던 봉하 이지원은 이번 ‘사초 실종’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관 대상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정보만 옮겨 저장한 NAS나 PAMS와 달리 봉하 이지원에는 기존 이지원 데이터가 통째로 복제돼 있는 덕에 이지원 내에서의 삭제·수정 흔적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봉하 이지원을 정밀 분석하면 정상회담 회의록이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되지 않은 이유, 처음 생성된 회의록이 삭제된 시점, 청와대 외부로의 유출 문제 등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