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북녘의 어머님 묘소가 그립습니다/림일 탈북작가

[기고] 북녘의 어머님 묘소가 그립습니다/림일 탈북작가

입력 2013-09-16 00:00
업데이트 2013-09-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림일 탈북작가
림일 탈북작가
필자의 모친은 1990년대 평양에서 불치의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당시 추석 풍경을 스케치하면 이렇다. 고위층 간부들은 추석날 아침 만수대 언덕에 있는 김일성 동상과 각 기관, 공공장소에 세워진 혁명사적비 앞에서 죽은 수령을 추모한 다음 관용차를 이용해 가족의 묘소를 찾는다. 군인과 대학생들은 단체로 대성산혁명열사릉(남한의 국립현충원)을 방문하는데 물론 당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일반 시민들은 대부분 대중교통을 이용해 평양시 교외에 있는 시립공동묘지에 안장된 조상의 묘소를 찾는다. 그것도 교통 사정이 안 좋아 많은 사람들은 3~4시간씩 걸어서 성묘를 가기도 한다. 눈에 확 띄는 것은 화물자동차나 자전거를 이용해 성묘길에 나서는 성묘객들인데 그들은 정부 부처와 소위 ‘힘있는 직장’이라 불리는 특정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과 가족들이다.

평양에서는 추석 명절 배급으로 성묘를 가는 가정에 한해 술 1병과 두부 2모, 사과 3알을 1990년대 초까지 공급했다. 김일성 사망 후 발생한 ‘평양시 식량공급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아 산 사람 입에도 겨우 풀칠하는 형국이니 조상의 차례상은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필자가 마지막으로 다녀왔던 1996년 추석 어머님께 올린 차례상에는 밥 한 공기, 돼지갈비 세 조각, 떡 한 접시, 생선 두 마리, 과일 몇 알 등이 전부였다. 이것도 아들 삼형제가 몇 주 전부터 준비한 것이다.

추석 때마다 성묘를 마치고 귀갓길 주변 묘지의 풍경을 보면 정말로 가관이다. 무덤 앞에 세워졌던 비석들이 하나둘씩 사라지는데 이유는 주변 건설장에서 자재 부족으로 자력갱생한다며 건설 인부들이 심야에 비석을 뜯어 가기 때문이다. 그들은 겨울이면 너무 추워 나무로 만든 묘비도 서슴없이 뽑아 땔감으로 사용한다. 오래전부터 악화된 국가경제 사정으로 빚어진 비극적인 사회 풍경이다.

요즘은 아예 묘비를 세우지 않고 봉분도 작게 만들며 벌초는 보통 당일에 한다. 또한 시신을 넣을 관이 없어 그냥 헝겊으로 말아 매장하는 것이 일상화됐다. 더 놀라운 일은 여름철 홍수나 산사태가 나면 묘소가 쉽게 떠내려가며, 수년이 지나면 같은 자리에 다른 묘소가 들어서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로 해서 정신적인 고통을 받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필자는 대한민국에 와서야 인간의 존엄을 알았다. 실종자 시신을 찾으려고 하늘에 헬기를 띄우고 수백 명의 인력이 동원된다. 무궁화로 꾸며진 제단에 고인의 사진이 모셔지며, 시신을 넣은 관이 리무진 승용차를 타고 영면의 장소로 가는 모습을 수차례 보았다. 그럴 때마다 뭉클함을 느끼며 민주주의 국가야말로 인간의 생명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사회임을 분명히 알았다.

명과 암의 거울인 남북한 두 사회를 살아 본 필자는 사람은 세상에 태어나서부터 사는 동안은 물론이요, 죽음까지도 좋은 곳에서 맞아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그래야 고인이 저승에서 행복하고 이승에 남은 이들의 마음도 편하지 않을까. 목숨보다 소중한 자유를 찾아온 서울에서 어느덧 열일곱 번째 추석을 맞는다. 고향에 계시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어머님의 묘소가 무척이나 그리워진다.

2013-09-16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