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영 감독 “천안함 의심하면 종북 빨갱이인가”

정지영 감독 “천안함 의심하면 종북 빨갱이인가”

입력 2013-08-28 00:00
업데이트 2013-08-28 1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안함 프로젝트 포스터.
천안함 프로젝트 포스터.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천안함이 침몰했다는 민·군 합동조사단의 결론에 의문을 제기하는 영화를 기획·제작해 논란을 불러일으킨 정지영 감독이 입을 열었다.

정지영 감독은 27일 서울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열린 ‘천안함 프로젝트’(감독 백승우, 제작 아우라픽처스) 언론시사회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영화를 보면 유가족의 명예를 훼손할 만한 부분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면서 “유족들이 영화를 보고 마음 상해한다면 진심으로 사과를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최대한 그런 부분을 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유족들이 영화를 보고 마음을 놓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지영 감독은 “상영금지가처분 신청을 한 유족 측에 영화를 같이 보자고 제안했는데 답이 없다. 영화를 안 보고 고소를 했다고 하기에 제발 영화를 봐달라고 했는데. 우리는 정말 이상한 사회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천안함 프로젝트’는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 ‘PPC-772천안’, 일명 천안함이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한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다. 천안함과 관련해 제기된 여러 궁금증을 75분 분량의 영상에 담았다. 지난 4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돼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지난 7일 해군과 유가족들이 “영화의 내용이 사실을 왜곡하고 당사자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법원에 상영금지 가처분신청을 제기해 다시 화제가 됐다.

법원의 결정에 따라 영화 개봉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를 의식한 듯 메가폰을 잡은 백승우 감독은 “영화 촬영을 마치면 홀가분할 줄 알았는데 극장에 영화가 올라가는 것까지 봐야 마음이 놓일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영화는 천안함 침몰의 진짜 원인을 밝히지는 않는다. 정부의 의견에 의문을 품으면 무조건 종북주의자로 몰리는 경직된 사회, 불통의 사회를 꼬집는다.

정 감독은 “어느 날 TV 토론회를 보는데 한 논객이 ‘아직도 대한민국에 천안함 사건이 북한 소행이 아니라고 의심하는 종북좌빨이 있다’고 말하더라. 거기서 충격을 받았다. 나도 아직 명확하지 않은데 그럼 나도 종북좌빨인가 생각했다”고 영화의 기획 배경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영화화를 결심한 것은 신상철 전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위원을 만나고서다. 정 감독은 “신상철 씨가 이 사안으로 해군 관계자에게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당해 재판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 재판이란 것은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니 의심스러운 부분은 재판에서 밝혀질 것으로 생각했는데 그 재판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고 해서 의아했다. 우리 사회 경직성을 영화를 통해 이야기하면 좋겠다고 생각해 백승우 감독에게 연출을 부탁했다”고 말했다.

백 감독도 “정지영 감독께서 영화를 맡아줄 수 있겠냐고 하시며 ‘그런데 이 영화를 만들고 나면 세상이 너에게 색깔을 씌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걱정하셨는데 그 부분은 예술을 하는 사람이 자기만 떳떳하면 상관없다고 생각했다”라면서 “어떤 의문이 있는데 그것을 말하지도 못하게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백 감독은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에 대해 “천안함 사건을 통해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프로젝트”라고 정의했다.

정지영 감독이 ‘판사 석궁 테러 사건’을 다룬 영화 ‘부러진 화살’, 독재정권 시절 고문 실태를 다룬 ‘남영동 1985’에 이어 우리 사회에 또 다른 화두를 던지는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는 오는 9월 5일 개봉 예정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