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랑시의 욕망과 파멸’ 큰 무대서도 통했다

‘블랑시의 욕망과 파멸’ 큰 무대서도 통했다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극장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명동예술극장 무대서도 진면목 보여

미국의 극작가 테네시 윌리엄스의 대표작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는 한국 관객들에게 비비안 리가 주연한 1951년작 영화로 친숙하다. 파국으로 치닫는 치명적인 매력의 블랑시를 복합적으로 표현한 비비안 리는 역대 최고의 여배우들이 도전했던 블랑시의 캐릭터를 대중에게 가장 강렬하게 각인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극 무대에서 수많은 한국판 블랑시가 탄생했는데 가장 최근에 극찬을 받았던 작품이 지난해 공연된 연희단거리패 버전이다. 지난해 대학로의 소극장 무대에 올랐던 작품은 주연배우들, 특히 블랑시로 분한 김소희의 연기가 극찬을 받으며 앙코르 공연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번에는 중극장 규모의 무대로 판이 커졌다. 지난 13일부터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되는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는 그야말로 배우가 이끄는 연극이 무엇인지를 있는 그대로 보여 준다. 배우들의 연기를 보고 있노라면 무대에서 터져나오는 에너지는 중극장으로도 감당하기 부족해 보일 정도다.

대본 자체는 큰 변화가 없다. 몰락한 상류층인 블랑시가 남편과 집을 잃고 허름한 항구도시로 와 동생 스텔라의 집에 머문다. 가진 것 없는 그녀지만 여전히 화려한 드레스와 액세서리로 치장하며 끊임없이 사랑과 부를 욕망한다. 현실적인 삶을 살며 동물적인 욕망에 집착하는 스탠리와 사사건건 대립하고, 스탠리는 블랑시의 위선과 이중성을 벗겨내려 한다. 그러나 새로운 사랑을 찾으며 구원을 꿈꿨던 블랑시는 스탠리의 손에 파국을 맞는다. 다만 원작 희곡에서 일상적인 부분은 과감히 덜어내고 인물의 심리를 따라간다는 게 연희단거리패 버전의 특징이다.

여기에 가장 돋보이는 건 주연배우들의 열연이다. 블랑시로 분한 김소희는 내면 속 비참함을 숨기고 고고한 척 허위로 자신을 치장하는 인물을 진실과 허위를 오가며 복합적으로 그려냈다. 목소리와 말투, 표정과 몸짓 하나하나에 공들인 섬세한 연기는 블랑시의 정신적인 트라우마를 분열증 수준으로 묘사하면서도 매력을 잃지 않는다. 스탠리 역의 이승헌 역시 현실적 쾌락만을 즐기며 블랑시를 파국으로 몰고 가는 인물을 매끈하게 소화해 냈다.

소극장 공연이 중극장으로 옮겨오면서 배우들의 움직임이 한결 커졌다. 소극장에서의 소박하고 상징적이었던 무대는 중극장에서 좀 더 복잡해지고 사실적으로 변모했다. 배우들은 침실, 거실, 포커판, 거리를 부단히 오가며 치열하게 대립하고 갈등한다. 하이힐을 신고 무대 곳곳을 넘나들며 정신분열증 연기를 선보이는 김소희에게는 무대가 좁다. 눈앞에서 술병의 술을 뿌리고 접시를 깨는 생생함을 느끼기에는 소극장이 제격이기에 아쉬움도 있다. 하지만 배우들의 에너지는 중극장 무대를 충분히 ‘잡아먹’고도 넘친다. 9월 1일까지. 2만~5만원. (02)1644-2003.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8-1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