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8線, 30분만에 그어졌다는 건 거짓”

“38線, 30분만에 그어졌다는 건 거짓”

입력 2013-08-17 00:00
업데이트 2013-08-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분할의 역사/이완범 지음/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942쪽/4만 8000원

역사에 가정은 부질없지만 돌이켜 보면 억장이 무너지는 일이다. 1945년 일본 패전을 앞두고 미국과 소련이 지상작전 분계선으로 획정한 38선이 1953년 정전협정 체결로 휴전선으로 바뀌어 무려 60년이나 한반도와 한민족을 갈라 놓는 분단선이 될 줄 누가 알았을까. 비극의 실마리가 된 38선 분할 결정 과정에 대한 치밀한 사실 확인 작업은 그래서 꼭 필요한 일이다.

책 표지에 실린 서용선 화백의 그림 ‘포츠담 회의’. 한반도 분할을 놓고 열강의 지도자들이 협상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책 표지에 실린 서용선 화백의 그림 ‘포츠담 회의’. 한반도 분할을 놓고 열강의 지도자들이 협상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쓴 이 책은 이런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충분하다. 미공개 문서 발굴을 통해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새로운 주장을 제기하면서 38선 획정에 관한 지속적인 진실 탐구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지금까지는 1945년 8월 10일 일본이 항복 의사를 알려오자 사전 준비가 없었던 미국이 다음 날 새벽 30분 만에 내셔널지오그래픽 지도 위에 미·소 군사분계선을 그었다는 이른바 ‘군사적 편의설’이 학계의 정설이었다. 이는 당시 미군 작전국 산하 전략정책단에 소속된 딘 러스크 대령의 증언에 기초한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미국이 일본의 항복이 가시화되던 1944년 초부터 한반도 분할을 구상했으며, 적어도 8월 11일보다 보름 정도 앞선 7월 25일 무렵 포츠담회담에서 소련의 세력권 확장을 제어하려는 ‘정치적 의도’ 아래 38선 획정이 이뤄졌다고 주장한다. 저자가 근거로 삼은 자료는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의 비밀해제 문서에서 발굴한 미군 작전국장 존 헐 중장의 인터뷰 녹취문이다. 러스크 대령의 상관이었던 헐 중장은 1949년 6월 17일 미군 관계자 해리스 대령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38선은 포츠담에서 마련됐다”고 말한다. 저자는 “그간 학계에서 소문으로만 존재하던 ‘헐선(線)’의 존재를 문서로 실증”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미·소가 포츠담회담에서 밀약까지는 아니더라도 한반도 분할에 암묵적으로 합의했을 묵약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 국가, 한 민족의 운명을 좌우할 영토 분할에 대한 결정 과정에서 정작 당사자인 우리는 철저히 소외됐다는 사실이다. 일본의 식민지에서 벗어났지만 한국의 정치적 운명은 태평양전쟁을 주도한 미국에 의해 주로 결정되었으며, 한반도 분할 점령도 미국이 주도해 결정한 정책들 가운데 하나였다. 열강들이 패전국인 일본이 아닌 한국 분할을 먼저 고려했다는 사실은 자국의 이익을 앞세운 냉혹한 국제정치의 단면을 뼈아프게 보여 준다.

저자에 따르면 외세에 의한 한반도 분할 기도는 16세기부터 있었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 일본 간 평양강화회담에서 일본은 명에 대동강 분할을 제의한다. 이 제안은 양국의 줄다리기 끝에 무산됐지만 일본과 중국 사이에 조선을 둘러싼 세력권 분할 의식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실이다. 19세기말과 20세기 초에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됐다. 러·일 전쟁 시기, 두 나라는 대동강 근처와 경성 근처를 경계로 한반도 분할을 논의했다. 이에 대해 저자는 “16세기와 19세기, 20세기 초 당시 두 외세 간 분할 논의가 실제 분단으로 연결되지 않은 이유는 어느 한쪽이 동의하지 않아 야합이 성립하지 않은 데에 있으며 이에 반해 1945년의 분할안은 미·소가 동의해 실현됐다”고 설명한다.

420여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한반도 분할의 역사는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충돌하는 지정학적 위치에 대한 부정적 숙명론의 근거가 돼 온 것이 사실이다. 저자는 그러나 과거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를 전략적 요충지로 잘 활용하면 분단을 극복하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08-17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