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민어 최대 산지 임자도

우리나라 민어 최대 산지 임자도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때 어부와 상인들로 불야성(不夜城)…이젠 추억담으로

우리나라 민어 최대 산지인 신안 임자도는 바로 옆 재원도와 함께 민어에 얽힌 이야기가 모래알처럼 쓸려 다니는 전설의 섬이다. 호황을 누리던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파시(波市·바다 위 생선시장)가 있었다. 임자도 부근에 민어 떼가 몰려오면 ‘부욱 부욱’ 우는 소리에 섬사람들이 잠을 못 이룰 지경이었다고 호사가들은 입방아를 찧는다. 산란하며 새우류를 좋아하는 민어가 여름이면 임자 해역으로 몰려들고, 민어를 따라 어부와 상인들이 불야성을 이뤘다. 6월이면 민어 배들이 수백 척 몰려들어 10월까지 섬은 모든 것이 넘쳤던 때다. 당연히 요리집과 기생들까지 한 철 장사로 술렁거렸다. 일본인들은 ‘못 먹을 생선’이라고 우기며 그들 나라로 실어 날랐다. 한·일 강제병합 직후에는 일본인의 횡포로 억울함을 못 이긴 기생 50여명이 집단 양잿물 자살을 했다는 소문도 들려온다.

하지만 그 ‘요란스럽던 시절’은 이제 추억담이 됐다. 어구가 좋아져 남획되고 수온 변화로 민어 수가 줄면서 배들은 임자도를 떠났다. 근래는 그 자리를 젓새우잡이 배가 오달지게 차지하고 있다. 전국 새우젓의 80%를 움직이는 곳이 송도 위판장이기 때문이다. 임자도 민어가 대놓고 목포로 들어가기도 하지만, 대개는 송도 위판장에 부려진다. 추석 차례상용 작은 통치에서 크게는 30㎏짜리까지 거래된다. 민어는 사리 때 움직여서 조금에 들어가면 위판장은 썰렁하다. 당연히 값도 천정부지로 뛴다. 민어는 단백질과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많아 어린이나 노약자 체력 회복에 좋은 음식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를 보면 “맛은 담담하면서도 달아서 날것으로 먹으나 익혀 먹으나 다 좋고, 말린 것은 더욱 몸에 좋다”고 돼 있다. 또 “부레는 아교를 만든다”고 언급했다.



2013-08-15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