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창의인재 육성 현장접목에서 답 찾아라

[사설] 창의인재 육성 현장접목에서 답 찾아라

입력 2013-08-08 00:00
업데이트 2013-08-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엊그제 ‘창의인재 육성안’을 발표했지만 현장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일부 내용은 지난 정부에서 추진한 것이고, 새 정부 들어 부처별로 발표된 내용을 묶은 수준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정적인 여론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 적다는 게 문제다. 미래창조과학부 등 3개 부처가 관련 내용을 모아 부처 간 칸막이는 간신히 넘었을지언정 정책 협업이 덜된 인상이다.

육성안에는 초등학교 때부터 취업 이후 등을 생애 주기별로 나눠 창의적 역량을 주입하는 내용을 담았다. 초중등 교육 과정에 체험형 수업 등 창의적 교육을 강화하고, 소프트웨어 분야 등 주요 산업정책과 연계된 마이스터고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융합형·체험형 ‘무한상상실’을 운영하고 이공계 학생에게 인문학 수업을 강화해 ‘통섭형 인재’를 키우는 안도 있다. 이중 상당수는 지난 정부에서도 현장 접목을 시도했지만 만족스러운 성과를 못 낸 정책이다. 관련 법과 제도, 교육 현장의 의식이 뒷받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창조경제를 표방한 새 정부가 교육·산업현장에서 문제점을 파악해 더 진전된 정책을 내놔야 할 이유다.

우리의 교육환경이 주입식 교육이라는 건 교육정책 실무진이 더 잘 알고 있다. 애초부터 개별 학생의 창의성이 싹을 틔우기 힘든 구조다. 이런 점에서 창조경제의 표본인 영국의 교육정책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국의 초등학교 커리큘럼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하나쯤은 만들 수 있게 짜여져 있다고 한다. 세계 시장은 영국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인 3차 산업혁명시대를 주도하겠다는 포석을 깔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디지털 산업시대에는 미래의 직업세계 변화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교육 현장에서는 이 같은 시대의 흐름을 읽어야 한다. 영국 창조교육의 예에서 보듯 창의적 교육에 대한 범정부적이고 근본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미래직업 동아리 활동 지원을 강화하는 등 학습 현장의 변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말이다. 가수 싸이의 말춤이 유튜브란 ICT와 결합하게 될 줄 누가 예상했겠는가. 지금은 적지 않은 학생과 학부모가 스펙보다 맞춤형 학업을 원하고 있다. 창의적 교육은 여기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 창의적 인재가 발굴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는 일선 교육자들의 몫이다. 9월 국회에서 처리될 관련 법에서도 이 같은 교육 현장 여건이 듬뿍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2013-08-08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