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전기료 싸지만 비효율적 사용으로 요금 더 낸다

교육용 전기료 싸지만 비효율적 사용으로 요금 더 낸다

입력 2013-07-17 00:00
업데이트 2013-07-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용보다 기본료 110원↓ 학교는 낮 시간만 사용 ‘한계’

대학과 초·중·고교에 적용되는 교육용 전기요금이 산업용 전기요금보다 기본요금을 포함, 대체로 싼 것은 사실이다.
이미지 확대


다만 기업들은 전력수요가 적은 새벽 시간대 공장가동 등을 통해 요금을 훨씬 더 줄이고 있는 반면 학교는 낮 시간에만 전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여건 탓에 연평균 요금으로 따지면 더 많이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전력의 전기요금표에 따르면 ‘계약전력’이 1000㎾ 미만인 교육용의 기본요금은 6090원(을-고압A-선택1형 기준)으로, 같은 조건의 300㎾ 이상 산업용 기본요금 6200원에 비해 110원이 싸게 책정돼 있다. 교육용은 8개 용도별 요금 중 농사용, 심야용 등과 함께 싼 편에 속한다.

계약전력은 평균 전력 사용량을 감안해 사용자가 선택하는데, 교육용에 대해서는 범위를 조금 넓게 잡아 혜택을 주고 있다. 초·중·고교의 약 90%가 계약전력 300∼1000㎾ 구간에 속한다.

그러나 지난해 기준 평균 판매단가(연평균 비용)는 산업용이 ㎾h당 92.8원인 데 반해 교육용은 108.8원이다. 학교는 ㎾h당 16원을 더 지불한 셈이다. 반면 기업들은 요금이 저렴한 경부하용 전력의 사용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한전 관계자는 “몇 년 새 학교에서 냉방기, 컴퓨터 등 전력수요가 급증했으나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은 마련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7-17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