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점행진’ 동국 다시 태극마크?

‘득점행진’ 동국 다시 태극마크?

입력 2013-07-15 00:00
업데이트 2013-07-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일 부산전서 7경기 연속골

이동국 연합뉴스
이동국
연합뉴스
‘라이언킹’ 이동국(34·전북)의 불붙은 득점 행진이 멈출 줄 모른다. 지난 13일 부산과의 K리그클래식 원정 경기에서도 헤딩골을 넣어 7경기 연속으로 상대 골망을 흔들었다. 지난 10일 FA컵까지 포함하면 8경기 연속 득점포다. 시즌 초 주춤하던 전북은 최강희 감독의 복귀와 ‘캡틴’ 이동국의 화력을 앞세워 리그 4위(승점 30·9승3무6패)까지 뛰어올랐다.

이동국은 지난 5월 11일 전남전부터 최근 출전한 K리그클래식 7경기에서 9골을 몰아쳤다. 지난 3일 성남전에서는 상대 골키퍼에게 돌려주려던 롱패스가 골로 연결돼 머리를 긁적였지만, 페널티킥 골이 한 차례도 없을 정도로 순도가 높다. 이미 K리그 연속경기 득점에서 안정환(은퇴·1999년)과 나란히 했고, 황선홍(1995년)·김도훈(2000년)이 갖고 있는 8경기 연속골 기록을 넘보고 있다. 대전(16일)-대구(31일)-강원(8월 4일) 등 약체 팀들과 거푸 만날 예정이라 대기록 달성의 기대를 높였다.

이동국은 이미 ‘살아 있는 전설’이다. K리그 335경기에서 153골(55어시스트)을 터뜨려 개인통산 최다골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경기당 0.46골의 무서운 폭발력이다. 외국인 선수 데얀(FC서울·130골)과 동갑내기 김은중(강원·119골)이 추격하고 있지만, 차이가 커 사실상 독주나 다름없다. 이동국이 골을 넣을 때마다 신기록이고 새 역사인 것. 올 시즌에도 12골(2어시스트)을 몰아쳐 페드로(제주·13골)에 이어 득점 2위를 달리고 있다. 경기당 0.71골이다.

신예 때와 비교하면 스피드는 떨어졌지만, 경기를 보는 시야가 넓어져 찬스를 만들어 주고 마무리하는 것에 도가 텄다. 타깃형 스트라이커의 기본 자질인 제공권 싸움과 수비를 몰고 다니는 능력도 ‘넘버원’이다. 요즘 득점을 보면 이동국은 쉽게 넣는데 상대는 예상하지 못하는 골들이 대부분이다. 관록과 여유가 묻어난다는 뜻.

발끝이 날카로워질수록 태극마크에 대한 논쟁도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이동국은 월드컵 최종예선 7경기에서 1골에 그쳐 혹평을 받았고,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는 20일 개막하는 동아시안컵 예비 엔트리(40명)에서 제외했다. 그동안 기회를 얻지 못했던 ‘젊은피’의 기량점검 무대지만, 홍명보 감독의 데뷔전이란 점에서 상징성이 있는 대회다. 홍 감독은 “노장과 신예, 국내파와 해외파를 가리지 않고 최상의 팀을 만들 수 있는 선수를 선발하겠다”고 했고, 이동국은 “감독이 찾을 수밖에 없게끔 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조은지 기자 zone4@seoul.co.kr

2013-07-15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