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최장집 vs 박근혜·김종인… 닮은점과 다른점

안철수·최장집 vs 박근혜·김종인… 닮은점과 다른점

입력 2013-05-30 00:00
업데이트 2013-05-3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치지도자·원로 결합… 초기 파트너십 원활, 朴·金 대선 뒤 소원… 安·崔 ‘노선 갈등’ 소지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 그의 ‘정책네트워크 내일’ 이사장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가 한배를 타고 ‘2인 3각의 항해’를 시작했다. 노동 등 사회 현안에 진보적인 최 이사장과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라는 안 의원이 공동목표 실현까지 할 수 있을까. 두 사람의 관계는 박근혜 대통령과 그의 경제민주화 전도사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의 관계를 닮았지만 다른 점도 적지 않다.

안 의원과 최 교수, 박 대통령과 김 전 위원장 등 정치지도자와 원로의 파트너십은 성공과 실패 등 다양한 결말을 보여 줬다. 민주당이 추구했던 경제민주화 의제를 새누리당이 주도하게 해 새누리당의 총선 승리와 박 대통령의 당선에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김 전 위원장은 박 대통령과 밀월관계를 유지하다 대선이 끝나 갈 무렵부터 외곽으로 밀려나 현재는 소원한 상태다.

김 전 위원장은 총선부터 경제민주화로 박 대통령을 도왔지만 경제민주화는 인수위에서 흐지부지돼 끝내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되지 못했다. 박근혜-김종인 파트너십은 현재 거의 가동되고 있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김 전 위원장은 29일 이 같은 시선을 부정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의 신의정치를 평가하며 경제민주화는 결국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 전 위원장은 경제민주화 부진의 이유를 박 대통령이 아닌 여야 정치권 책임으로 돌려 박 대통령과의 관계가 복원될 여지도 남겼다.

안 의원과 최 교수의 파트너십은 일단은 잘 가동되고 있는 듯하다. 정치 지도자와 원로의 결합이란 측면에서 박 대통령과 김 전 위원장의 초기 관계를 닮았다.

하지만 소동도 있었다. 안철수 신당의 지향점이 노동에 기초한 진보 정당이라는 최 교수의 발언에 안 의원 측근들이 반발하자 안 의원은 28일 노동에 기초한다는 부분에서 최 교수 입장을 옹호했다.

다만 신당이 향후 진보 정당으로 갈 것이냐는 문제에 대해 안 의원은 논평하지 않았다. 안 의원은 29일 기자들과 만나 내부 갈등설을 부인했지만, 신당 창당 등에서 노선 문제로 두 사람이 부딪힐 소지를 남겨 둔 셈이다. 최 교수에게 삼고초려까지 한 안 의원이 계속 신뢰할지는 미지수다. 두 사람 관계가 장밋빛만은 아닌 것이다. 안 의원은 대선 과정에서 윤여준 전 환경장관, 김 전 위원장 등과 파트너십을 시도하다 결렬됐고 이후 이헌재 전 장관 등 원로그룹도 배제했다. 이런 안 의원이 29일 자신의 후원회장으로 또 원로 최상용(71) 고려대 명예교수를 위촉해 주목된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2013-05-30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