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 미얀마 대통령은 왜 대한항공 타고 미국 갔나

세인 미얀마 대통령은 왜 대한항공 타고 미국 갔나

입력 2013-05-21 00:00
업데이트 2013-05-21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용기·직항없어 인천 경유

지난 18일(현지시간) 미얀마 국가 수반으로는 47년 만에 미국 워싱턴 땅을 밟은 테인 세인 대통령이 워싱턴에 올 때 타고 온 항공편은 한국 국적기인 대한항공기였던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미얀마와 미국을 잇는 직통 항공편이나 미얀마 대통령의 전용기가 아직 없기 때문이다. 세인 대통령과 그를 수행하는 방미단 40여명은 미얀마 수도 양곤에서 대한항공 여객기를 타고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잠깐 기다렸다가 대한항공 093편으로 갈아타고 워싱턴 인근의 버지니아주 덜레스국제공항에 18일 오전 11시 30분 도착했다. 대한항공은 인천공항과 덜레스공항 간 하루 한 차례 왕복 항공편을 운영 중이다. 미얀마 측 방미단은 귀국할 때도 대한항공을 이용해 같은 동선으로 양곤에 되돌아갈 것으로 알려졌다.

세인 대통령은 20일 오후 백악관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세인 대통령은 지난해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한 적이 있지만 그때는 뉴욕에만 머물렀다. 미얀마의 국가 최고 지도자가 워싱턴을 공식 방문한 것은 1966년 이후 47년 만이다. 당시 미얀마 군사 독재자 네 윈이 린던 존슨 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찾은 바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재선 승리 직후 첫 해외 순방지로 미얀마를 택했다. 그는 미국 대통령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미얀마를 찾아 개혁·개방을 추진하는 세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고 아웅산 수치 여사 등도 만났다. 미얀마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 “버마(미얀마)의 길을 따르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세인 대통령의 역사적 방미도 북한을 향한 ‘시위’의 성격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 김정은 정권이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에 나설 경우 미얀마처럼 ‘대우’해 주겠다는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미얀마와의 관계 정상화를 자신의 대표적 외교 치적으로 내세우려는 것으로 보인다. 도무지 해법이 안 보이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나 북핵 문제에 비해 미얀마와의 관계 진전은 외교적 성과를 과시하기에 매력적인 측면이 있다. 외교 소식통은 “반세기 가까이 외면했던 두 나라가 반년 만에 두 차례나 정상회담을 할 정도로 급속히 가까워진 것은 극적인 역사의 반전”이라고 평가했다.

세인 대통령은 이번 워싱턴 방문 기간 대학 강연, 콘퍼런스 강연, 미국 경제인 면담 등의 바쁜 일정을 소화한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5-21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