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생 주도 텝스·토익 ‘집단 커닝’

로스쿨생 주도 텝스·토익 ‘집단 커닝’

입력 2013-04-17 00:00
업데이트 2013-04-1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추형 몰카·고막 진동 이어폰 등 첨단 장비 동원

서울 관악경찰서는 16일 특수장비를 동원해 영어능력시험인 텝스와 토익 부정행위를 주도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재학생 박모(30)씨 등 2명을 구속하고 수험생 수십명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박씨 등은 수험생을 가장해 시험장에 들어가 단추형 카메라로 답안지 영상을 실시간으로 외부에 전송했고 밖에서 대기 중이던 공범들이 수험생들에게 답을 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 부정시험을 의뢰한 수험생들은 정답 수신용 지갑, 고막 진동 이어폰, 스마트 시계 등을 통해 정답을 건네받았다.

박씨 등은 지난해 말부터 이 같은 수법으로 7∼8차례 텝스와 토익 시험장에서 부정행위를 주도해 수험생들로부터 1인당 200만~400만원씩 받아 챙기는 등 모두 3500만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6개월 전 첩보로 수사에 착수, 지난 10일 박씨가 사는 기숙사를 덮쳐 증거품을 압수했다.

조직적인 영어능력평가시험 부정행위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8월에는 유학생 4명과 취업준비생, 공무원 등 의뢰인 37명이 적발됐다. 당시 이들은 시험장에서 감독관이 스마트폰의 배터리만 분리해 걷어간다는 점을 악용, 여분의 배터리를 준비해 스마트폰으로 답안을 주고받았다. 경찰 관계자는 “대리시험이 주된 수법이던 일은 옛 이야기”라고 전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04-17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