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DB를 열다] 1986년 차량에 카폰 설치하는 한국이동통신 직원

[DB를 열다] 1986년 차량에 카폰 설치하는 한국이동통신 직원

입력 2013-04-13 00:00
업데이트 2013-04-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에서 차량전화(카폰)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1961년 8월이라고 돼 있다. 그러나 가입자가 겨우 80명뿐인 매우 특별한 전화였다. 1984년 3월,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식회사가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본격적으로 카폰 서비스를 시작했다. 당시 카폰의 가격은 샐러리맨의 연봉을 넘고 포니 승용차 값의 두 배나 되는 400만 원을 넘는 고가였다. 차 값보다 카폰 값이 더 높았으니 배보다 배꼽이 큰 셈이었다. 사진은 1986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차량에 카폰을 설치하고 있는 모습이다.

세계적으로 이동통신의 역사는 1946년 시작됐다. 미국의 벨연구소는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모바일 텔레폰 서비스를 처음 발명, 세인트루이스에서 차량전화 서비스를 시작했다. 1956년 스웨덴에서 나온 차량전화는 무게가 40kg이나 됐다. 그럼에도, 초기에는 이동 중에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경찰이나 소방 차량 등에서 요긴하게 쓰였다.

휴대전화는 차량전화에서 진화했다. “조엘, 나 마틴이야. 지금 휴대전화로 전화 걸고 있어.” 1973년 4월 3일, 모토로라의 엔지니어였던 휴대전화 발명가 마틴 쿠퍼가 역사적인 통화를 했다. 조엘은 벨 연구소 소장이며 쿠퍼의 라이벌이었다. 지난 3일로 휴대전화가 발명된 지 40년이 되었다. ‘휴대전화의 아버지’ 쿠퍼도 이제 85세가 됐다. 쿠퍼의 단말기를 상용화하는 데는 10년이 더 걸렸다. 1983년 상품명 ‘다이나택8000X’로 출시된 쿠퍼의 휴대전화는 크기가 세로 33㎝에 무게는 1kg대에 이르러 ‘벽돌폰’이라 불렸다. 가격도 약 4000달러나 됐다. 국내에서 휴대전화 서비스가 개시된 때는 1988년 7월, 서울올림픽이 개최되기 직전이었다. 1993년 말에는 전국 74개 시·읍 지역에서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했다. 1996년 4월 신세기통신과 한국이동통신이 본격적인 경쟁 체제를 이루었다가 이듬해 10월부터 한국통신프리텔, LG텔레콤, 한솔PCS 등 3개사도 PCS로 이동전화 시장에 참가했다. 이들 5개사는 모두 미국 퀄컴의 CDMA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술적으로 동일했다. 1999년 말에 한국이동통신을 인수한 SK텔레콤이 신세기통신을 합병하고, 다음 해 6월 한국통신프리텔이 한솔PCS를 인수해 통신시장은 3강 구도가 되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4-13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