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자본금 5兆로 증자” 코레일 3兆 베팅 배수진

“용산 자본금 5兆로 증자” 코레일 3兆 베팅 배수진

입력 2013-02-27 00:00
업데이트 2013-02-27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간社도 1조4000억 내라” 드림허브 긴급 지원책 제시

용산국제업무지구의 모습. 연합뉴스
용산국제업무지구의 모습.
연합뉴스
코레일이 좌초 위기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개발사업에 4조원 규모의 추가 증자안을 제시했다.

코레일은 26일 용산개발사업의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드림허브)의 자본금을 현재 1조원에서 5조원으로 늘리는 안을 28일 열리는 드림허브 이사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레일은 자신들이 받을 개발 부지 대금에서 이자를 제외한 5조 3000억원 중 2조 6000억원을 드림허브의 자본금으로 출자 전환할 계획이다. 또 코레일이 매입하기로 한 랜드마크 빌딩의 2차 계약금 4161억원도 드림허브의 파산을 막기 위해 긴급 지원할 예정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현물로 출자되는 2조 6000억원과 랜드마크 빌딩 2차 계약금 4161억원을 포함해 약 3조원을 내놓는 것”이라면서 “코레일이 개발사업의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이번 사업을 제대로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코레일은 증자안의 시행 조건으로 민간 출자사들에 두 가지를 요구했다. 먼저 코레일이 매입하기로 한 랜드마크 빌딩의 공사비 1조 4000억원에 대해 민간 출자사들이 추가 출자를 할 것을 요구했다. 코레일이 받을 땅값을 자본금으로 내놓는 만큼 삼성물산 등 민간 출자사들도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일정 부분 부담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코레일은 용산개발사업의 대주주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는 사업협약서의 전면 개정도 요구했다. 용산개발사업은 시행사인 드림허브의 대주주가 코레일임에도 불구하고 실무를 맡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용산AMC)의 대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이 사업의 주도권을 행사하면서 갈등이 계속됐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3-02-27 1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