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74년 서울 신문가판대 선데이서울 선풍적 인기

[DB를 열다] 1974년 서울 신문가판대 선데이서울 선풍적 인기

입력 2013-01-16 00:00
업데이트 2013-01-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74년 1월 10일 서울의 어느 신문가판대 모습이다. 신문가판대라고 해야 요즘같이 번듯하지도 않고 판때기에 올려놓고 고무줄로 신문들을 둘러놓았다. 당시에는 전국 종합지는 단 7개뿐이었다. 서울신문과 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신아일보가 석간이었고 조선일보와 한국일보가 조간이었다. 대한일보는 사주인 김연준씨가 수재의연금 횡령 사건에 휘말려 구속되는 바람에 1973년 폐간됐다. 1980년대 말에 언론통폐합 조치로 신아일보는 경향신문에 통합되었고, 서울신문은 조간으로 변경됐다.

신문의 모습은 지금과 확연하게 다르다. 면수는 8면에 불과했고 세로쓰기를 하고 한자를 혼용했으며, 오른쪽으로 넘기면서 보았다. 머리기사 제목은 시커멓게 음각으로 처리했는데, 이날 석간신문의 제목은 ‘개헌언동 금지 긴급조치 선포’로 유신 치하의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 기자가 가판대를 촬영한 목적은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던 선데이 서울을 소개하는 데 있었다. 1968년 창간된 선데이서울은 전체 주간지 판매량의 30%를 넘어설 정도로 주간경향, 주간여성 등 경쟁지들 사이에서 독보적인 존재였다. 연예 기사뿐만 아니라 사회 현상을 심층 분석하는 40~50쪽짜리 기획 기사들도 독자를 불러 모은 비결이었다. 선데이 서울의 판매는 컬러 텔레비전이 나오기 전 절정기에 이르러 1978년에는 발행부수가 23만부를 돌파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