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인 비서실장·대변인 더이상 ‘정권 실세’ 아니다?

당선인 비서실장·대변인 더이상 ‘정권 실세’ 아니다?

입력 2012-12-26 00:00
업데이트 2012-12-26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 전문성·실무 고려한 듯

역대 정부에서 ‘권력 실세’로 불렸던 당선인 비서실장과 대변인들이 ‘박근혜 정부’에서는 통(通)하지 않을 수도 있을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첫 출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 비서실장과 대변인들이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열린 첫 기자회견을 위해 환한 얼굴로 들어서고 있다. 왼쪽부터 조윤선, 박선규 공동대변인, 유일호 당선인 비서실장, 윤창중 수석대변인.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첫 출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 비서실장과 대변인들이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열린 첫 기자회견을 위해 환한 얼굴로 들어서고 있다. 왼쪽부터 조윤선, 박선규 공동대변인, 유일호 당선인 비서실장, 윤창중 수석대변인.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유일호 당선인 비서실장과 윤창중 수석대변인, 박선규·조윤선 대변인의 인사에 대한 당 안팎의 반응이 ‘파격·깜짝·당황’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박 당선인이 ‘복심’(腹心)보다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가장 크게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서실의 권력 집중을 막아 실세 논란을 차단하겠다는 박 당선인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박 당선인의 역대 비서실장을 보면 유승민·진영·최경환 의원 등 친박계 핵심 측근으로 불렸던 인물들이다.

또 보통은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직행’했던 당선인 비서실장을 인수위 기간인 ‘2개월용’으로 한정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정권 인수를 위한 ‘섀도 캐비닛’이 아닌 업무 인수를 위한 실무적 차원에서 접근하겠다는 것으로 향후 인수위 인선도 이 같은 취지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하지만 역대 당선인 비서실장과 대변인은 ‘정권 실세’로 가는 지름길이었다.

‘임 실장’으로 통했던 임태희 전 비서실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그림자’로 불렸다. 이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에도 비서실장을 지냈으며 이명박 정부 출범 후에는 세 번째 대통령 비서실장을 맡았다. 이에 앞서 임 전 실장은 고용부장관을 지내는 등 이 대통령이 필요할 때마다 ‘구원 투수’ 역할을 자임했다.

인수위 대변인 출신인 이동관 전 대변인은 말 그대로 이 대통령의 ‘입’이었다. 청와대 대변인과 홍보수석비서관, 청와대 언론특별보좌관을 거쳤다. 한때 청와대 ‘핵심 관계자’로 불렸으며 ‘왕수석’이라는 말도 나왔다.

참여정부와 국민의 정부에서도 당선인 비서실장과 대변인들은 대통령의 핵심 인물들이 맡았다. 물론 깜짝 발탁도 있었지만 정권 내내 실세로 불리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초대 비서실장은 국민의 정부 시절 청와대 정무수석과 국정원 기조실장을 지낸 문희상 의원이었다. 예상치 못했던 깜짝 카드였지만 당시 노 당선인이 일종의 면접을 통해 그를 발탁했다는 후문이다. 당선인 대변인은 이낙연 의원, 인수위 대변인은 정순균 전 참여정부 국정홍보처장이 맡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당선인 시절에 김중권 전 의원을 비서실장으로 내정했고 인수위·당선인 대변인에는 각각 김한길 의원과 박지원 의원을 임명했다. 김 실장의 경우 당시엔 파격적인 인사였다. 개인적인 인연보다 호남 출신 대통령에 영남 출신 비서실장이라는 지역적 안배가 적용됐다. 박 대변인은 국민의 정부 최고 실세로 활약했다. 김 전 대통령의 ‘복심’으로 문화부장관을 지냈으며 DJ의 마지막 비서실장으로 불렸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2-12-26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