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여년간 구전된 우즈베크 음악 ‘샤슈마콤’

1000여년간 구전된 우즈베크 음악 ‘샤슈마콤’

입력 2012-11-29 00:00
업데이트 2012-11-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30일밤 ‘세계의 무형… ’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박물관 도시’ ‘중앙아시아의 숨은 명소’ ‘시간여행의 종착역’ 등은 모두 우즈베키스탄 서부의 고도(古都) 부하라를 일컫는 말이다. 산스크리트어로 사원을 뜻하는 부하라는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유서 깊은 곳이다. 특히 칼란 모스크(‘커다란 사원’이란 뜻)는 1만여명이 동시에 기도를 드릴 수 있는 중앙아시아의 대표적인 이슬람 성지다. 모스크 안에 있는 지름 9m, 높이 46m의 칼란 미나레트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첨탑으로 꼭대기에 불을 지펴 실크로드의 등대 역할을 하기도 했다. 1215년 부하라를 정복한 칭기즈칸도 칼란 미나레트만은 파괴하지 않았다. 이곳 부하라에서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악 샤슈마콤이 생겨나고 발전했다. 성악과 악기 음악, 멜로디와 리듬, 문학과 심미적인 개념 등이 융합된 샤슈마콤은 1000년이 넘은 세월 동안 구전으로 내려왔다.

이미지 확대
1000년을 내려온 구전음악 샤슈마콤을 연주하는 우즈베키스탄의 음악가들. EBS 제공
1000년을 내려온 구전음악 샤슈마콤을 연주하는 우즈베키스탄의 음악가들.
EBS 제공
샤슈마콤은 마와라 알-나르(‘강 너머의 땅’이란 뜻)로 불리던 지역에서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발전해 온 전통 음악이다. 샤슈마콤의 악보 기록법은 기본적인 형식만을 기록할 수 있을 뿐 아름다움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 결국 입에서 입으로 전수하는 것이 으뜸가는 방법. 40여년간 전통 악기를 만들어온 장인의 솜씨와 우즈베키스탄 전통 혼례 속의 샤슈마콤을 30일 오후 8시 50분 EBS에서 방송하는 ‘세계의 무형 문화유산: 샤슈마콤-우즈베키스탄, 후류모노-일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 이바라키현에 있는 ‘해가 뜨는 도시’란 뜻의 히타치 시(市)는 후류모노 축제로 유명한 곳이다. 해마다 4월 둘째 주말에 열리는 벚꽃 축제와 7년마다 열리는 신사의 대제례에 맞춰 열리는 긴 행렬이 바로 후류모노다. 후류모노 축제는 네 개 마을을 관장하는 수호신에게 바치는 제례의식의 하나로 지역 주민들의 화합과 단결을 이루며 300년 넘게 이어가는 전통문화다. ‘우아한 물체’를 뜻하는 후류모노는 높이 15m, 무게 5t의 거대한 수레를 말하는데 그 위에서 인형극을 펼치는 것이 축제의 하이라이트다. 이 수레는 이동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달았으며 마을을 관장하는 수호신에 대한 경배와 위상을 드러낼 수 있도록 거대한 5층 건물 구조로 되어 있다. 한 대의 후류모노에는 100여명의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마을 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전통을 유지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축제의 명맥을 이어나갈 수 있다. 일본의 중요 민속 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인 후류모노에서 인형극을 펼치는 것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자부심과 준비 과정, 화려한 축제 현장을 만나본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11-2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